관단 사원과 계단(戒壇) --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A Temple with a Space for Official Ordination (官壇寺院) and its Ordination Platform (戒壇) -- the Status of Geumsansa (金山寺) Temple in the Buddhist Order of Early Goryeo Dynasty
관단사원=a temple with a space for official ordination=官壇寺院; 계단=戒壇=ordination platform; 금산사=金山寺; 보살계=菩薩戒=bodhisattva Precepts; 방등계단=方等戒壇; 유가업; 소현; receiving precepts at an official ordination plarform=官壇受戒; Geumsansa=金山寺
摘要
이 글에서는 고려전기 지방 사원의 위상 변화를 금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산사는 신라 경덕왕대의 진표의 활동으로 유명하지만, 관련된 역사 기록이 많지 않다. 고려시대 들어 혜덕왕사 소현이 광교원을 세우고, 그곳에서 유가업의 현창과 敎藏의 간행을 이끌었음이 주요하게 논의되어 왔다. 그렇지만 소현 前後 의 금산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금산사에 관련된 유물 및 문헌 기록을 종합하여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 내 위상이 변화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오층석탑(五層石塔) 을 조성한 주체가 누구인지, 방등계단(方等戒壇)이라 불리는 계단을 고려시대에 어떤 용도로 사용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고려 전기에 금산사가 국가에서 지정한 구족계 수계 사원, 즉 관단 사원이었다는 사실이 지니는 사회적ㆍ역사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local temples in the early Goryeo period, focusing on the Geumsansa Temple. The Geumsansa Temple was famous for the activities of the Reverend Jinpyo (眞表), but there are few relevant historical records. In the Goryeo Dynasty, it was discussed that Sohyeon (韶顯, 1038-1096), a royal preceptor, established the Kwangyowon (廣敎院) there, and he led the prosperity of the yoga department (瑜伽業, Dharma-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publication of the Canonical Works (敎藏).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Geumsansa Temple before and after Sohyeon. So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the Geumsansa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by utilizing the artifacts and document records as many as available. I noticed who built the five-story stone pagoda and how the ordination platform (戒壇) was used. In particular, I emphasized that the Geumsansa Temple was a temple with a space for official ordination, and that it has an important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
目次
Ⅰ. 머리말 9 Ⅱ. 중앙 교단과 금산사 10 Ⅲ. '방등' 계단과 관단 사원 18 Ⅳ. 맺음말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