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마음챙김 수행자의 일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체험연구 -- ‘붙듦’에서 ‘놓음’으로 향해가는 ‘마음챙김 살기’ =Phenomenological Study on Daily Experi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ees -- ‘Living Mindfully’, from ‘holding’ towards ‘letting go’
作者 박성현 (著)=Park, Sung-Hyun (au.) ; 안희영 (著)=Ahn, He-young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91 n.0
出版日期2019.08.31
頁次285 - 32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박성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치유교육학 박사수료
안희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치유교육학 석좌교수
關鍵詞마음챙김=Mindfulness; 일상경험=Daily experience; 살기=Living; 현상학=Phenomenology; 상향 나선형=Upwards spiral
摘要이 연구는 수행자의 일상에서 체험되는 마음챙김 현상들의 탐구에 목적이 있다. 불교의 근본목적은 삶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며 마음챙김 수행은 이의, 실천적 제시이다. 그러나 오랜 기간, 불교수행은 일상과 유리된 초월적인 것으로인식되어왔다. 최근, 명상의 세계화는 마음챙김을 현대인의 삶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마음챙의 주요 문헌들은 평범한 삶의 언어로서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의 맥락을 통한 마음챙김 경험에 초점을 두어 ‘붙듦’에서‘놓음’이라는 지향 속, ‘마음챙김 살기’라는 주제를 발견하였다. ‘마음챙김 살기’의흐름에는 ‘찾기’, ‘엎치락뒤치락’, ‘스며들기’의 과정 중에, ‘마음챙김 닿기’, ‘마음챙김 드러나기’, ‘ 앎의 깨어남’ 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이는, 상향 나선형의 반복 순환으로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붙듦’을 통해 시작된 마음챙김 수행은 일상경험속에 일어나는 각 현상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놓음’을 지향하며 ‘마음챙김 살기’를심화한다.
따라서, 마음챙김 수행자의 일상경험은 삶의 매 순간 체현, 체득하고 실현하는것에 의미가 있으며 그러한 어느 때에, 경험의 실체에 대한 앎이 깨어난다. 이러한앎에는 고통에 저항하고 욕구에 집착하는, ‘붙듦’, 그 자체가 고의 원인이라는 앎이 포함되며 이는 수행자를 그간의 ‘붙듦’에서 ‘놓여나게’ 한다. 이에, 고통 가득한일상에서도 삶을 보다 전체적으로 받아들이는 ‘진정한 살기’, 즉 ‘마음챙김 살기’가가능해지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indfulness might be experienced in the daily lives o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e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Buddhism lies in viewing reality as it is and present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this. But, Buddhist practice has long been misunderstood as something transcendent, separated from our daily lives. Owing to the globalization of meditation, Mindfulness has become closer to the lives of contemporaries. Unfortunately, major pieces of literature related to Mindfulness are far from our normal languages.
The main theme emerging from this study is as ‘Living mindfully’ from ’holding on’ towards ‘letting go’. In the process of ‘Living mindfully’, ‘finding’, ‘ups and downs’ and ‘permeation’ continued to circulation, the phenomena of ‘contacting of Mindfulness’, ‘emergence of Mindfulness’ and ‘awakening’ appears overlapped, continuously. But this stream turns out to be a dynamic upward spiral for growth. That is the phenomena initiated by their mutual interaction with the orientation towards ‘release’, deepening ‘Living mindfully’ as well as ‘letting go’ because of interactions generated from each phenomenon.
Therefore, the daily experi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ees had its meaning in embodiment, acquisition, and realization in every moment of their daily lives. At some time of the course, they could be aware of the truth of life. This includes an awareness that the ‘holding on’ to resist pains and stick to desires by itself is the cause of the pain, which makes people become ‘released’ from ‘holding on’.
At last, they can have the state of ‘Living Mindfully’ that embraces life with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目次Ⅰ. 여는 말 287
Ⅱ. 마음챙김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89
Ⅲ. 연구 절차 291
1. 연구방법: Van Manen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291
2. 참여자 선정 292
3. 자료 수집 293
4. 연구의 타당성 확보와 윤리적 고려 294
5. 자료 분석 및 해석의 과정 294
Ⅳ. 마음챙김 수행자의 일상 경험: ‘붙듦’에서 ‘놓음’을 향해가는 마음챙김 살기 295
Ⅴ. 마음챙김 살기: 삶, 그 자체 315
Ⅵ. 맺는말 316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91.11
點閱次數193
建檔日期2021.09.18
更新日期2021.09.1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362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