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天台止觀과 淨土念佛 수행방식 고찰 -- 중국 초기 習禪을 토대로 =The Succinct Observation on the Tientai Chan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Insight (止觀) and the Pure Land practice of meditation concentrating on Buddhas (念佛) -- On the Basis of Early Chan (禪) Practices in China
作者 최은영=Choi, Eun-young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72 n.0
出版日期2014.12
頁次117 - 151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 HK교수
關鍵詞습선; 천태=Tientai; 지의=Zhiyi; 도작=Daochuo; 염불삼매; 정토=Pure Land; Chan Practice; Meditation concentrating on Buddhas
摘要본고는 『高僧傳』과 『續高僧傳』의 傳記에 보이는 중국 초기 불교에서 수행되었던 습선의 형태를 고찰한 것을 바탕으로, 이들 습선을 토대로 하여 뚜렷한 특징을 확립한 천태지관과 정토염불수행의 형성적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천태지관과 정토염불 수행방식을 비교하면, 천태는 대승경론에 기반한 부정관과 수식관 중심의 習禪法과 아미타불 염불관, 대승적 懺法과 觀心法을 총합하여 止觀의 수행체계를 완성하였다. 한편 도작에 의해 실천방식을 단일화한 정토교는 염불수행 가운데에서도 칭명염불로 쉽고 대중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또한 천태지의는 이들 수행법을 체계화하는데 많은 대승경론을 활용하고 있지만, 정토교의 염불 수행법은 오직 정토3부경에만 기반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여러 행법은 천태의 수행법에서는 습선법 자체가 궁극적인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관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지만, 정토교에서는 易行道를 통해 아미타불을 칭명하고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차이가 있다. 이것은 결집력과 순수성이 집성되어 道俗을 망라하며 시간과 공간으로 파급력이 커지면서 계속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is article purports to compare the Tientai Chan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Insight (止觀) and the Pure Land practice of meditation concentrating on Buddhas (念佛), through analyzing concrete examples of Chan practice in the early Chinese Buddhism, which are delineated in the biographies of the Gaosengzhuan (高僧傳) and the Xu-Gaosengzhuan (續高僧傳).
In comparison of the practice styles by Tientai Zhiyi (天台智顗,538-597) and Pure Land Order, Tientai appears to have completed a organic system of practice by synthesizing previous styles of practicing Chan, meditations concentrating on Buddhas (念佛), Mahayana practice of repentance, and methods of observing one’s own mind, while Pure Land Order appears to have progressed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 styles of meditating Buddhas by the practical path of easy and popular practice by vocalizing the names of the Buddhas in the meditation concentrating on Buddhas (稱名念佛). While Zhiyi, in addition, appears to have utilized many Mahayana scriptures in systematizing these Chan practices, the Pure Land Style of meditating Buddhas appears to have been on the basis of the three major scriptures of the Pure Land Order.
Further, the Tientati method of Chan practice appears to have been utilized rather as a method for observing one’s own mind than as the ultimate objective in itself, while the easy path of practice (易行道) through vocalizing the Amitabha Buddha in the Pure Land Order appears to have been regarded as the means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This practice of the Pure Land Order came to influence widely on both clerical and lay people, spreading across time and space, through its centrality on concentration and simple pureness, while the Tientai Chan practice of concentration and Insight (止觀), as the inclusive system through the synthesis of every styles, came to influence on every subsequent aspect ofChan and Pure Land Buddhism as its combinatory elements.
目次Ⅰ. 들어가는 말 119
Ⅱ. 초기 습선법의 유형: 고승전 사료를 중심으로 121
1. 시대적 상황과 습선자들 121
2. 승전에 드러난 坐禪 習禪法 123
3. 念佛⋅懺法을 통한 습선 132
4. 중국 초기 습선법 小結 134
Ⅲ. 천태止觀으로 체계화되는 습선법 135
1. 승전에 보이는 天台智顗와 慧思의 습선 135
2. 禪門 관련 지의의 문헌 검토와 특성 137
3. 초기 습선법을 종합한 천태지관 141
Ⅳ. 정토염불 수행법의 變遷 142
1. 승전에 보이는 정토염불과 방식의 변화 142
2. 천태지관과 정토교의 염불수행의 차이 146
Ⅴ. 나가는 말 147
ISSN12250945 (P)
點閱次數168
建檔日期2021.10.20
更新日期2021.10.2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535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