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한국불교전서』의 편찬과 과제=The Compilation of the Han’guk Pulgyo chŏnsŏ (Complete Works of Korean Buddhism) and Future Challenges
作者 조은수 (著)=Cho, Eun-su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69 n.0
出版日期2014.02
頁次99 - 13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한국불교전서=Han’guk Pulgyo chŏnsŏ=Complete Works of Korean Buddhism; 고익진=Ko Ik-chin; 문헌 교감=Textual criticism; 불교문헌전산화=Digitization of Buddhist texts; 한국대장경=Korean Canon
摘要『韓國佛敎全書』는 한국 불교 역사 속에 나타난 문헌적 성과의 집대성이다. 경전과 교학 율학 문헌에 대한 주석류, 선승들의 어록, 공안집, 게송, 여행기와 역사문헌, 비문, 시문, 한글 가사, 언해문 등 많은 다양한 문헌들이 수록되어 있다. 『한국불교전서』는 한국의 불교학계의 오랜 바램이 모여져서 1970년대 그 편찬의 계획이 수립되었고, 고익진 박사 등의 주도하에 1979년 첫권이 출간된 이래 2004년 마지막 14권이 발간됨으로써 30여년에 걸쳐 전 14권의 총서로 출간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전서』의 편찬을 촉발시킨 당시의 사회적 학문적 배경과 편찬 과정을 살펴본 후에 그 편집 체재를 분석하여 수록 범위, 수록된 문헌의 종류, 문헌의 배열 방식, 선정과 교감 표식 등에 있어서의 원칙을 찾아보았다. 한편 이러한 특장점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색인 등 공구서가 개발되어야 하며, 일련번호, 구두점, 그리고 현재의 디지털 서비스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음을 지적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의 새로운 문헌들이 계속 발굴되고 있고 기존 입력 자료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교감이 요구되기에 디지털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야 말로 현재의 한국불교전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일 것이다.

The Han’guk Pulgyo chŏnsŏ (Complete Works of Korean Buddhism) is an enormous compilation of the entire literary output of the 1,700-year-old Korean Buddhist tradition, in 14 massive volumes, reflecting the ideologies, thought, culture, and very identity of Korean Buddhism. Contained within are commentaries on sutras and treatises; recorded Sŏn sayings, collections of koans and poems, travelogues, historical documents, inscriptions, and more.
This paper retraces the 30-year history of the chŏnsŏ, from plans first made in 1970 to the final volume in 2004. It examines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needs that prompted its creation, as well as the central role played by figures such as Ko Ik-chin. It is clear that the chŏnsŏ was the fruit of deep devotion and determined effort to fulfil a long-standing desire of Korean Buddhist scholars.
This paper also reviews the schematic principles adopted in the current chŏnsŏ – the range and types of included texts and the selection of recensions. There are many points of improvement: basic tools such as an index are lacking, as well as deficiencies in text numbering, punctuation marks, and provision of digital services. Improving digital services in particular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enhancing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chŏnsŏ.

目次I. 시작하는 글 101
II. 『한국불교전서』 편찬의 연기 103
III. 『한국불교전서』의 體裁 또는 體制 110
1. 수록 범위 111
2. 수록된 문헌의 종류 111
3. 수록 문헌의 배열 방식 112
4. 수록문헌 선정과 교감 표식의 원칙 113
IV. 미완의 사업 114
1. 누락 또는 미발견 문헌 115
2. 색인 등의 공구서 117
3. 일련번호 118
4. 구두점 119
5. 디지털 『한국불교전서』 제작과 그 서비스와 관련한 제반 문제 119
6. 지속적 교감을 위한 방책 125
7. 『한국불교전서』의 국역 과제 126
8. 『 한국불교전서』의 영문 번역 과제 128
V. 나가는 글 129
ISSN12250945 (P)
點閱次數122
建檔日期2021.11.03
更新日期2021.11.0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685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