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 민속놀이의 유아 교육적 가치 탐색=Worth Exploration of Infant Education in Buddhist Folk Play
作者 김은경 (著)=Kim, Eun-kyung (au.) ; 권대원 (著)=Kwon, Dae-won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67 n.0
出版日期2013.10.31
頁次333 - 36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김은경: 동국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권대원: 동국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關鍵詞불교 민속놀이=Buddhist Folk Play; 연등놀이=lotus lantern play; 탑돌이=a pagoda play; 삼회향놀이=Samhoehyang play; 백중놀이=Baekjung play; 유아발달=infant development
摘要놀이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인간의 삶 속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문화현상이다. 특히 유아에게 있어 놀이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전인적 발달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불교 민속놀이는 유아들에게 불성함양 뿐 아니라 종교에 내재되어 있는 올바른 삶의 자세와 방식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불교 민속놀이의 종류와 내용은 무엇이며, 또 유아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결과 불교 민속놀이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연등놀이, 탑돌이, 삼회향놀이, 백중놀이가 있었으며, 이 놀이들의 공통적 특징은 불교적 축제로서 세대, 연령, 신분의 구분 없이 온 국민이 참여하여 즐기는 종합예술형태의 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놀이들의 유아 교육적 가치에 대한 분석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민속놀이가 유⋅아동 발달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객관적인 분석을 하기 위해 유아교육 및 관련 전문가 2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정된 문항을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응답들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객관적으로 선정된 문항을 통해 한국 민속놀이 중 불교 민속놀이인 연등놀이, 탑돌이, 삼회향놀이, 백중놀이를 분석한 결과 이 놀이들은 유아의 신체발달, 창의성 발달, 사회성 발달,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요소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lay is a cultural phenomenon commonly shown in lives of human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Especiall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play provides diverse experiences to infants, at the same time, acts importantly in holistic human development. If we see play in this meaning, it is thought that folk play of Buddhism has an effect on gaining naturally correct attitudes and ways of life which are included in the religion as well as cultivating the nature of Buddha. So,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s and contents of Buddhist folk play are and what element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re.
From the result through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kinds of folk play of Buddhism were representatively lotus lantern play, play circling a pagoda, Samhoehyang play, and Baekjung play. It was found out that they are Buddhist festivals and the common features of them are types of a composite art that all the people particip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generations, ages, and social positions.
The analysis procedure and results about educational worth of the play are like the next.
First, to analyze objectively what effects folk play has on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26 experts of infant education or related with the education. Selected questions through thi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collected answers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rough objectively selected questions,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lotus lantern play, play circling a pagoda, Samhoehyang play, and Baekjung play as Buddhist folk play among Korean folk play; it was found out that these kinds of play influence positively on body, creativity, sociality, and emotion development of infants.
目次Ⅰ. 서론 335
Ⅱ. 불교 민속놀이 337
Ⅲ. 불교 민속놀이의 유아교육적 분석 346
1. 연구도구 및 연구방법 346
2. 불교 민속놀이 분석 352
Ⅳ. 결론 및 제언 356
ISSN12250945 (P)
點閱次數69
建檔日期2021.11.09
更新日期2021.11.0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713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