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朝鮮初期『儒釋質疑論』に現れた儒佛觀=The opinion for buddhism and confucianism of 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儒釋質疑論)
作者 鄭栄植 (著)=Jeong, Yeong-shik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47 n.0
出版日期2007.02
頁次227 - 246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日文=Japanese
附註項저자정보: 釜山大學校講師
關鍵詞삼교일치=the agrement of three-doctrine; 유석질의론; 기화=Gi-hwa=己和; 하도낙서; 우주관=cosmos theory; 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the doctrine of trikāya
摘要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의 불교비판에 이론적으로 반박한 문헌 중의 하나가 『儒釋質疑論』이다. 『儒釋質疑論』에서는 1.석가의 탄생과정이 易의 이론에 합치하며 2.불교의 三身과 역의 河圖, 洛書, 八卦의 이론이 동일하며 3.불교의 우주관과 사람의 신체는 동일한 구조임을 밝혀, 儒佛相通을 주장한다. 우선, 석가의 탄생일은 ‘甲寅年 4월 8일’인데, 寅은 五行의 木, 계절로는 봄에 해당되므로, 봄에 만물이 생성되듯이 석가도 탄생한 것이다. 또, 4월은 乾卦인데, 건괘는 陰氣가 없고 陽氣밖에 없다. 즉, 석가는 胎氣의 陰氣가 없어져서 陽氣가 성대해졌을 때 탄생한 것이다. 다음으로, 三身 중에서 法身의 手印이 ‘주먹’을 쥐고 있는 것은 ‘無極而太極’임을 보인 것이며, 報身인 阿彌陀佛이 양손을 펼친 것은 ‘陰陽의 생성’을 의미하고, 化身의 手印이 손가락을 펴거나 굽히고 있는 것은 ‘四象生八卦’를 의미한다. 또, 불교의 우주관에서 ‘須彌山의 정상이 利天이고, 日月星辰은 그 밑에 있다’고 한 것은, 사람의 머리가 몸의 중심이고, 눈, 코, 귀 등이 그 밑에 있는 것과 동일한 이치라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儒釋質疑論』은 대단히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문헌이며, 특히 석가의 入胎, 탄생과정과 佛의 手印을 『周易』에 대응시켜서 논한 것은 별로 예를 보지 못하는 것이다.

The recording of a ques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儒釋質疑論) is the text what refuted to criticizing Buddhism by Neo-Confucian. That proposes three point. The first is that the birth of Buddha is correspond with the Book of Changes(周易). The second is that the doctrine of trikāya(三身)is correspond with the doctrine of Yin and Yang(陰陽), four-images(四象), eight-sign(八卦). The third is that cosmos theory of Buddhism is correspond with human-body.
First of all, the birthday of Buddha is April eighth. That implies that Buddha was born at spring as the seeds are germinated at spring. That dharmakāya(法身)makes a fist is correspond with ‘Non-Absolute is the Great Absolute(無極而太極).’ That sambhogakāya(報身)opens his fist is correspond with the birth of Yin and Yang(陰陽). And that nirmāṇakāya(化身)hooks and opens his finger is correspond that ‘eight-sign is born from four-images(四象生八卦)’.
Finally, in cosmos theory of Buddhism, that the sun, moon and star sit under the trāyastriṃśas(忉利天) is correspond that the eye, ear and nose sit under the head at human-body.
目次Ⅰ. 序論 229
Ⅱ. 本論 230
1. 釋迦の誕生課程と易の理論 230
2. 仏教の三身(法身․報身․化身)と易の河図․洛書․八卦 235
3. 時空観の比較 239
Ⅲ. 結論 241
ISSN12250945 (P)
點閱次數102
建檔日期2021.12.02
更新日期2021.12.0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880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