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 가능성 -- 『무량수경종요』와 관련하여=Possibility of so called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s Rebirth in the Pure Land -- In Relation to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
作者 김호성 (著)=Kim, Ho-sung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53 n.0
出版日期2020.08.28
頁次9 - 40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關鍵詞원효=Wonhyo; ‘소성거사’=‘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무량수경종요』; 『삼국유사』=Samgukyusa; 왕생; Sūtra of Contemplation on the Buddha of Immesurabla Life(觀無量壽經);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
摘要원효의 정토사상을 알 수 있는 핵심적인 저술은 『무량수경종요』이다. 그 안에는 그가 ‘정토’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떻게 하면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한 논술이 있다.
또한 일연의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조에는 원효가 계를 잃은 후에 스스로를 ‘소성거사’라고 자칭하면서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민중들에게 넓혔다는 기록이 있다.
이 논문은 원효 자신의 저술인 『무량수경종요』에 비추어 볼 때, 실계한 ‘소성거사’라고 하는 근기(根機)의 왕생가능성을 물어본다. 이는 반드시 원효 자체의 경지가 ‘소성거사’의 차원에 놓여있었다고 단정한 뒤, 원효의 왕생가능성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원효는 비록 계를 잃었다고 하더라도, 그 보다 더 높은 경지에 존재했을 가능성은 없지 않다. 그러나 ‘소성거사’라고 하는 존재의식은 계를 잘 지키고 있었을 때의 근기보다는 낮은 근기의 존재라고 하는 의미임은 부정할 수 없다.
과연 그러한 존재로서 ‘소성거사 원효’ 역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가?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에서는 그러한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정토사상을 어떻게 설하고 있는가? 또 그러한 정토사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의의는 무엇인가? 이렇게 작업가설적으로 ‘소성거사 원효’의 왕생 가능성을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에 물어봄으로써 원효의 정토사상을 다시금 조명해 보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aim to re-illuminate Wonhyo(元曉, 617-686)’s Faith on the Pure Land Buddhism, by answering the question whether so called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 could attain the rebirth in the Pure Land(淨土).
For this purpose, I re-examined the paragraph, in which Wonhyo broke Buddhist precepts not to have relationship with woman, had a son and finally changed his monk clothes into the secular, by Illyeon’s storytelling in his book Legende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Samgukyusa, 三國遺事).
I asked two questions about ‘Retrogressed Layman(vaivartika-gṛhastha) Wonhyo’s Rebirth in Pure Land, and searched the answers in Wonhyo’s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無量壽經宗要), in which Wonhyo shows his standpoints about the Pure Land Buddhism.
As consequences, I found out that even though he broke his precepts, he still took its qualification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that chanting “Namo Amitābha”, which came from the Sūtra of Contemplation on the Buddha of Immesurabla Life(觀無量壽經) was recommended by Wonhyo as writer of Essence to Sukhāvatīvyūha Sūtra.
Therefore it has been highly significant for us to ascertain that Wonhyo’s standpoints have shown his choice to chant “Namo Amitābha” as the method of going to the Pure Land. But he also emphasized that practioner’s have to concentrate and repent during his chanting “Namo Amitābha”.

目次Ⅰ. 머리말 11
Ⅱ. 왕생의 가능 여부 12
1. 오성각별(五姓各別)설로 판단해 본 왕생 여부 12
2. 삼취설(三聚説)로 판단해 본 왕생 여부 17
Ⅲ. 왕생의 방법 21
1. 삼배설(三輩説)에 대한 원효의 이해 22
2. ‘소성거사 원효’에게 적용가능한 행법 24
Ⅳ. 원효 왕생설의 의의 27
1. 현료문 십념의 의의 27
2. ‘소성거사 원효’의 의미 32
Ⅴ. 맺음말 35
ISSN12253154 (P)
DOI10.34275/kibs.2020.53.009
點閱次數250
建檔日期2021.12.22
更新日期2022.02.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124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