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원효의 『二障義』 <顯了門>에 나타난 해석상의 특징=Characteristics of the Exoteric Interpretation (顯了門) in Wŏnhyo’s Ijangŭi
作者 안성두 (著)=Ahn, Sung-doo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7 n.0
出版日期2017.08.31
頁次125 - 157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이장의』=Meaning of the Two Hindrances; 원효=Wŏnhyo; 현료문; 번뇌; 유식=Yogācāra; 여래장사상=Tathāgatagarbha thought; Exoteric Interpretation; Esoteric Interpretation; Defilement
摘要이 논문은 원효의 중기 저작인 『이장의』의 <현료문>에 나타난 저작상의 특징을 탐구한 것이다. 『이장의』는 <은밀문>에 의해 번뇌에 대한 『기신론』의 사상적 관점을 보여주고자 하며, <현밀문>에 의해서는 『유가론』 등에 나타난 초기유식의 번뇌설을 보여준다. 이 논문이 <은밀문>의 설명보다 <현료문>에 나타난 원효의 이해에 보다 더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설명이 현장 문하의 학승들에 의해 편찬된 해설서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현장 역서에 나타난 신유식 사상에 대한 최초의 반응이라는 점에 있다. 본고는 이들 개소의 연구를 통해 원효가 현장 문하의 해석에 의존하지 않고 『유가론』 등의 신역 유식문헌에 대한 독자적 탐구를 통해 인도유식사상을 이해하고 정리하고자 시도했던 사상가였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것이며, 이를 위해 그의 독자적 해석의 특징을 다른 주석서와 비교해서 제시하고자 했다.

Ijangui, Meaning of the two Hindrances, is an independent work of Wŏnhyo on the system of Hindrances, which was schematized in the Yogācāra texts into two kinds: Hindrance of the defilements (kleśāvaraṇa) and hindrance consisting in the knowable objects (jñeyāvaraṇa). One of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Ijangui lies in the interpretation that these two hindrances are subsumed into the two hermeneutical levels, which represent each other the exoteric level (顯了門) and esoteric level (隱密門) of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 For Wŏnhyo, the former represents typical interpretation of the defilements in the indian Yogācāra works, such as the Yogācārabhūmi, and the latter in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such as Śrīmalasūtra an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explanation of the exoteric interpretation in order to demonstrate Wŏnhyo’s independent,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Yogācāra ideas from that of Zuanzang school, particularly on the theme of two hindrances. Judged from the date of its composition around 660, the date derived from the composition of his authentic commentarial work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āna (大乘起信論), namely, 大乘起信論別記 and 大乘起信論疏, we can safely say that it precedes the most influential commentaries in the Zuanzang school. If my understanding is correct, then Ijangui should be evaluated as the earliest systematic response in the East Asian Buddhism to Zuanzang’s voluminous translation of Yogācāra texts.

目次Ⅰ. 들어가는 말 127
Ⅱ. 『이장의』 이전 문헌에서 번뇌설의 구성과 조직 130
Ⅲ. 『이장의』의 구성과 설명상의 특징 135
Ⅳ. 『이장의』 <현료문>에 나타난 원효의 이해의 특징 141
1. 번뇌장과 관련된 분류: 128종, 104종 및 98종의 번뇌설 142
2. 소지장과 관련된 8종 분별 147
V. 맺는 말 150
ISSN12253154 (P)
點閱次數124
建檔日期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54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