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체벌에 대한 불교적 고찰=Buddhistic consideration on corporal punishment
作者 이호근 (著)=Lee, Ho-keun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4 n.0
出版日期2016.02.28
頁次159 - 185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강릉원주대 철학과 교수
關鍵詞체벌=corporal punishment; 方便=upāya=skillful means; 攝受; 折伏=abhibhava=surrender, taming; 인권=human rights; 교권=teacher's authority; parigraha=embraces
摘要교육의 문제는 인간의 삶에서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불교적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고찰해 보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체벌문제에 대하여 불교적으로 접근할 때, 우선 초기불교 교단의 계율을 검토함으로써 붓다의 교육지침의 특징을 살펴볼 수도 있고, 인도사상의 핵심 개념인 다르마(dharma)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또한 불교교리 중에서 사섭법(四攝法)이나 사무량심(四無量心)에 대한 고찰도 중요하다.
체벌에 대하여 불교적으로 고찰할 경우, 또 한 가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은 중국 선불교의 흐름에서 나타난 덕산(德山)과 임제(臨濟) 스님의 방할(棒喝) 방편이다. 덕산의 매질(德山棒)은 외견상으로는 체벌과 유사하지만, 육체적 고통을 주는 체벌과는 달리 전광석화와 같은 순간적인 자극과 긴장으로 수행자를 막다른 길로 몰고 가는 파격적이고 전격적인 소통의 방편이며 깨달음의 계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체벌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불교의 전통은 다르마를 중시하는 인도적 풍토 속에서 나타난 것이며, 불교교단은 세속의 갈등과 번뇌를 타파하기 위해 매우 엄격하고 치밀한 계율을 제정하고 실천해 왔다는 점에서 체벌의 문제에 대한 불교적 관점에서의 고찰은 상당히 흥미롭고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체벌금지로 인하여 심각한 교권침해 현상이 빈번히 나타난다고 해서 교사에게 무조건 체벌의 권한을 즉각 부여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불교적 관점에서 볼 때 ‘체벌’ 자체를 허용해야 하느냐 말아야 하느냐 하는 것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다. 체벌을 해야 하느냐 혹은 말아야 하느냐 하는 문제보다는, 불가피하게 체벌을 해야 할 경우라도 체벌이 훈육의 방편으로서의 여러 조건들을 충족하고 있느냐의 여부가 보다 본질적이고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orporal punishment from buddhistic points of view. Reviewing the śīla(rules of moral conduct) and vinaya(rules of the Buddhist order) of the early saṅgha is the essential factor for the present study. How to harmonize the protection of the students' rights and the achievement of school governance goals has emerged as a key challenge.
Several alternatives of corporal punishment such as behavioral, humanistic models are suggested to be used in schools. Genuine compassion as a means(upāya) of discipline should be unbiased. And i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others have the right to happiness. Also if the damage to the student caused by corporal punishment is more severe than the damage done to the teachers and the other students' educational rights, then it should be prohibited.
The Four Methods employed by bodhisattvas to attract others to their teachings(generosity, kind words, beneficial ac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s) and the Four Immeasurable Minds(sympathy, compassion, altruistic joy and equanimity) may be very effective means of discipline.
It is not everything to vest teacher with authority of corporal punishment. A further important consideration is that corporal punishmen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a means for discipline than whether corporal punishment is necessary or not. In some cases legal action may be more effective than indigested corporal punishment. Wise and harmonious choice of embraces(parigraha) or taming(abhibhava) is crucial to successful discipline.

目次Ⅰ. 머리말 161
Ⅱ. 체벌의 개념과 양면성 162
Ⅲ. 체벌주의와 攝受-折伏주의 164
1. 체벌의 교육적 가치와 심리적 영향 164
2. 체벌과 善巧方便 166
3. 攝受와 折伏의 근거 및 지향성 168
Ⅳ. 世俗의 교육체계와 붓다의 교육사상 176
1. 학생의 인권과 교권 176
2. 불교의 師弟觀과 교화방법 177
Ⅴ. 맺음말 179
ISSN12253154 (P)
點閱次數101
建檔日期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57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