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대 중국 불상 조상기와 정토신앙=The inscription of the Buddha statue and pure land belief in ancient China
作者 김진숙 (著)=Kim, Jin-sook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3 n.0
出版日期2015.08.30
頁次137 - 173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학교 연구교수
關鍵詞조상기=inscription of Buddha statue; 정토신앙=belief of pure land; 생천=Buddhist haven; 도솔천=Tuṣita; 미륵신앙=belief of Maitreya; 서방정토=the western pure land; 아미타불=Amitābha Buddha
摘要중국 불상 중 명문이 있는 최초의 예는 5호16국 중의 하나인 후조後趙 때 건무建武 4년(338)에 조성된 금동불이다. 이후 남북조시대와 수·당을 거쳐 조상造像 경위를 알 수 있는 수많은 조상기가 남아있다. 이러한 조상기는 상의 조형과 더불어 당시 불교 사상과 사회적인 배경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본고에서는 남북조와 수·당시대에 걸쳐 조성된 불상 조상기를 분류해 본 결과, 불상은 돌아가신 부모와 가족을 위해 조성된 경우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발원 목적은 불상을 조성한 공덕으로 이들이 죽은 후에 정토, 즉 더 좋은 세계에 윤회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여기서는 그 내용을 ①천天, ②미륵과 관련된 곳(도솔천, 龍華三會), ③서방정토, ④두 곳 이상의 결합, ⑤기타 등에 태어나는 곳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남북조시대 초기에는 중국인의 하늘의 개념과 유사한 ‘천天’이나 미륵보살이 상주하는 도솔천을 하늘로 인식하여 그곳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면서 석가상과 미륵상 등이 조성되었다. 이후 미륵하생신앙이 나타나면서 미륵여래가 조성되고 ‘용화수하龍華樹下 미륵삼회彌勒三會’의 발원문이 정형화된 문구처럼 나타났다. 또한 이 시기는 아직 서방西方이란 서쪽의 정토 또는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라는 개념이 확립되지 않고, 이 때의 서방은 단지 미륵불이 이 지상에 도래할 때까지 죽은 사람이 임시로 머무는 공간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수·당시대에 조성된 대부분의 조상기에서는 죽은 이가 서방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발원하고 이와 더불어 아미타불의 존명이 나타났다. 남북조시대의 제불의 정토 또는 미륵의 정토에서 수·당 시대에 점차 서방의 정토신앙이 확립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gilt bronze statue created in the period of Hou zhao(338), one of Sixteen Kingdoms is the first example which has inscription in Chinese Buddha statues. Since the Buddha statue 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he Sui and Tang dynasty, a number of Buddha statues with inscription that offers details on how to the Buddha statue, that was left has been created. The inscription of Buddha statue i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o give information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those days and of the Buddhist thought.
The one fact clarified by this research is that most of the Buddha statues are built for their late parents and late family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he Sui and Tang dynasty. Creating Buddha statue was for a good deed in order to lead the deceased to the pure land. The research categorizes the wishes in inscriptions as the following: (1) the rebirth in heaven(生天), (2) the rebirth in Tuṣita(生兜率天) where Maitreya stays, (3) the rebirth in Western pure land(生西方淨土), (4) the rebirth in the world combined more than two worlds, (5) the rebirth in the other world.
Chinese people in the beginning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did not seem to separate the concept between heaven and Tuṣita. That is to say, they might have regarded Tuṣita as the general heaven, and then built the Buddha statue of Sakyamuni and Maitreya to reincarnate in heaven or Tuṣita. Since then, as the belief appeared that the Maitreya will come down from Tuṣita to this world, and thus Buddha statues of Maitreya were built with inscription which had the typical verse that Maitreya will give the dharma talk three times under Bodhi tree(龍華樹下彌勒三會).
In addition, the West(西方) did not establish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s the pure land located in the West or the Western pure land where Amitābha Buddha stays in. The West at those days was a temporary place where the deceased stays until Maitreya Buddha advents in this world. The belief of pure land settled down in Sui and Tang dynasty. Amitābha Buddha statue was mainly built and the wishes to go to the Western pure land are found in its inscription from this period.

目次Ⅰ. 머리말 139
Ⅱ. 불상 조상기의 조상원의 142
1. 조상원의 분류 143
2. 망자추선과 존명 146
Ⅲ. 불상 조상기에 나타난 정토신앙 149
1. 생천과 관련된 조상기 151
2. 미륵신앙과 관련된 조상기 154
3. 서방정토와 관련된 조상기 157
4. 두 가지 이상의 정토신앙이 결합된 조상기 161
Ⅴ. 맺음말 162
ISSN12253154 (P)
點閱次數87
建檔日期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61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