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佛所行讚과 月印千江之曲의 붓다관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Buddha of Buddhacarita and Wolincheongangjigok
作者 김지영 (著)=Kim, Ji-young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3 n.0
出版日期2015.08.30
頁次211 - 242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한국불교연구원 객원연구원
關鍵詞붓다관=Buddha; 八相=eight events of Buddha’s life story; 초기교설=early doctrine; 대승불전=Mahayana Buddha’s life story; 스승=teacher; 효=filial piety; 救援佛=Buddha of rescue
摘要본 논문은 『불소행찬』과 『월인천강지곡』을 비교하여 1~2세기 인도와 15세기 조선의 불전과 붓다관을 연구하고자 했다. 두 불전은 구성과 내용, 붓다관 등 대부분의 측면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두 불전 모두 팔상을 구성의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불소행찬』은 정각 이후의 일화에 서술비중을 두고 있다. 하지만 『월인천강지곡』의 경우 붓다의 일생서술에 있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불소행찬』은 교설 중심의 사실적인 불전이라 한다면, 『월인천강지곡』은 붓다의 덕목과 구제력 등을 강조한 초역사적인 불전이라고 생각된다.
『불소행찬』에서 붓다는 깨달음을 위한 이상적인 모델이자 사람들의 스승이며, 『월인천강지곡』의 경우 붓다는 윤리의 모범이자 중생의 의지처로써 신적 존재이다. 불전의 내용에 있어서 『불소행찬』은 붓다의 현 생애만을 다루고 있으며, 사성제, 팔정도, 무아, 지계, 보시, 업, 인과 등 초기교설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반면에 『월인천강지곡』은 『법화경』, 『보은경』 등 대승불교의 경전을 중심으로 붓다의 전생담도 풍부히 포함시키고 있다. 이러한 대승경전들은 『월인천강지곡』에서 붓다의 설법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생담의 주제는 붓다의 자비와 효심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월인천강지곡』에서 붓다는 久遠實成의 本佛이 중생교화를 위해 현현한 垂迹佛이자 化身佛이다. 따라서 生身 붓다를 대신할 불상을 조성하고, 불사리를 신앙을 역설하고 있다. 『월인천강지곡』의 이러한 붓다관은 찬술 당시 조선불교의 억불숭유라는 사회 환경에 대한 반응으로써 의미를 지니며, 이러한 붓다관은 현재 우리나라 신앙불교에 일정부분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불소행찬』은 불전 설화가 정형화되기 이전의 붓다 설화의 다양한 단계들, 즉 중간과정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색을, 『월인천강지곡』은 석가족 가계를 중시한 불전이라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This In this paper Buddha’s life story and Buddha are studied comparing Buddhacarita in India 1~2 C.E. and Wolincheongangjigok in Joseon Dynasty 15 C.E. There appeared a big difference in most aspects of story structure, the contents, and Buddha of the two texts. They are both based on the eight events of Buddha’s life story. Buddhacarita describes Buddha’s story focusing on after His enlightenment while Wolincheongangjigok depicts the eight events in balanced way. Buddhacarita can be said to be a realistic and historical text focusing on the doctrines while Wolincheongangjigok is said to be a mythical one focusing on His virtues and power of His salvation. Buddha in Buddhacarita is an ideal model and teacher for the enlightenment and in Wolincheongangjigok an ethical model and God for sentient beings to depend on.
As for the contents Buddhacarita deals with Buddha’s this life and early doctrines in detail such as the Four Noble Truth, the Noble Eightfold Path, No-self, precepts, generosity and karma, etc. But Wolincheongangjigok includes Jataka stories mainly with Mahayana sutras like Lotus Sutra, Boeungyung. These Mahayana sutras play a role of Buddha’s preaching. And the themes of Jataka which Wolincheongangjigok adopts are intended to emphasize the Buddha’s compassion and filial piety.
Buddha in Wolincheongangjigok is a transformed body to awaken sentient beings. Therefore He emphasizes to make Buddha images and worship His relics substituting for Buddha. Buddha of Wolincheongangjigok has the meaning of reacting against the circumstances of rever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in Joseon Dynasty. The tendency of Wolincheongangjigok has affected today Korean folk Buddhism in some way.
Lastly Buddhacarita features various steps of Buddha’s story development before the formalization of Buddha’s story. Wolincheongangjigok is the text of focusing on His family.
目次Ⅰ. 서론 213
Ⅱ. 본론 214
1. 八相과 『불소행찬』과 『월인천강지곡』의 구성 비교 214
1) 『불소행찬』의 팔상과 특징 216
2) 『월인천강지곡』의 구조와 내용 220
2. 붓다의 설법 비교 222
1) 『불소행찬』에서의 붓다 설법 222
2) 『월인천강지곡』에서의 붓다 설법 225
3. 붓다관의 비교 229
1) 『불소행찬』의 붓다관 229
2) 『월인천강지곡』의 붓다관 232
Ⅲ. 결론 234
ISSN12253154 (P)
點閱次數96
建檔日期2022.01.15
更新日期2022.01.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61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