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고려시대의 비보사탑과 불상조성=Buddhist Temple, Stupas and Statues of Buddha built on Feng Shui Theory in the Koryo Dynasty
作者 김진숙 (著)=Kim, Jin-sook (au.)
出處題名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卷期v.42 n.0
出版日期2015.02.28
頁次253 - 283
出版者韓國佛教研究院
出版者網址 http://kibs.or.kr/xe/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關鍵詞비보사탑=complementary Temple and stupa; 선종사원=Seon Buddhist temple; 도선 국사; 철불=metal Buddha Statue; 마을 비보; 석주형 석불=pillar-style Buddha statue
摘要비보사탑은 9세기 말 도선 국사가 정립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고려에서 매우 중요한 사상적인 기반이 되었다. 고려에서 비보의 목적으로 개창된 사원은 국가의 경제적인 후원을 받았고, 나아가 비보사탑은 국가의 중대사뿐만 아니라 개인의 명당을 찾는 일까지 포함하여 정치적·대중적인 관심사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에서 비보사탑은 고려시대의 불교미술, 특히 불상을 고찰함에 있어 중요한 관점 중의 하나로 삼국과 9세기 이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불상의 조성 원의이며, 이에 따라 상의 형태나 표현이 다를 수 있음을 고찰했다. 먼저 나말여초의 사찰에 봉안된 철불, 즉 봉암사, 남원의 선원사와 대복사 그리고 승주 선암사 등의 철불이 비보의 목적으로 조성되었고, 나아가 철불 중에서 나발이나 얼굴의 범상치 않는 표현도 비보와 관련이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화순 운주사의 불상처럼 도선 국사의 조성으로 전해지는 불상에서도 비보와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고려는 전국에 거대한 마애불과 석주형石柱形의 석불이 조성되었다. 종래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상들에 대해 조형 의지의 부족이나 표현의 결핍 또는 생략 등으로 고찰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례들 중에서 비보의 목적으로 조성된 예들이 많음을 고찰했고, 그 결과 석주형의 석불은 암석이 원래 가지고 있던 영험함이나 견고성을 가능하면 살리면서 불상을 조성하려고 한 조형 의지의 한 표현으로 볼 수 있었다.
고려는 풍수지리적 관심이 비보사탑으로 발전하면서 불교미술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재질과 형식의 불교 건축물들이 조성되었고, 이러한 다양함은 또 지역적인 특성으로도 나타났다.

The theory of complementary temple and stupa(裨補寺塔說) founded by Doseon Great Master is building temple, Buddha statue, stupa or flagpole at a place which has something deficient topographically to protect there from unwholesome vitality.
The theory was to be the foundation spirit of Koryeo dynasty (918-1392) so the Buddhist temples founded under the theory were supported by government. Therefore, complementary Temple and stupa play important role when Koryeo moved its capital as well as when people wish to find a propitious site for tomb.
This paper considers Buddha statues for topographical complementary. The Metal Buddha statue in BongAmsah Temple and SeonWonsah Temple in Namwon are representative as being built for topographical harmony with the area. The thousand-stone Buddha statues in UnJusah temple, Hwasoon are constructed for national security. Also, the stone-pillar-style Buddha statues in KoDori, Iksan and OSeakRi, YiCheon were built for town's security.
The styles of these Buddha statues do not seem to be completed constructs of their styles as traditional Buddha statu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o the unperfected and aberrant style that there is some intention to protect the sacred rocks by sculpting the rocks as less as possible, so that the Buddha statues can keep the sanctity that the scared rack had before transforming into Buddha.
The understanding of Buddha statues built for complementary could be a clue to understand various styles of Buddha statues of heterotypic styles of rock cliff Buddha, and gigantic Buddha statues Koryeo dynasty.

目次Ⅰ. 머리말 255
Ⅱ. 고려 비보사탑의 연원과 전개 257
Ⅲ. 비보사탑과 불상조성 261
1. 사원에 안치된 불상 261
2. 도선 국사 관련 불상 267
3. 마을 비보로 조성된 불상 269
Ⅳ. 고려 불교미술에 미친 비보사탑의 영향 273
Ⅴ. 맺음말 274
ISSN12253154 (P)
點閱次數144
建檔日期2022.01.16
更新日期2022.01.1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267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