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三玄三要의 개념에 대한 고찰 -- 『禪門綱要集』_연구를 위한 기초로서=The research about The Three Marvelous and Three Essentials(三玄三要) -- The basic research about Chan school's Essence(禪門綱要集)
作者 정영식 (著)=Jeong, Young-sik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25 n.0
出版日期2010.04.30
頁次11 - 43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關鍵詞삼현=三玄=The Three Marvelous; 삼요=三要The Three Essentials; 천복승고=薦福承古=Jianfu Chenggu; 선림승보전=禪林僧寶傳; 선문강요집=禪門綱要集=The text of Chan school's essence; Linji Yixuan
摘要임제의현에 의해 처음 제기된 삼현삼요는 대단히 이해하기 어렵다. 그런데, 원래 玄은 도가의 개념으로서 임제는 도가의 영향을 받고 있다. 삼현의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인물은 汾陽善昭․薦福承古인데 특히 천복승고는 최초로 삼현을 體中玄→句中玄→玄中玄으로 나누고,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런데, 체중현→구중현→현중현으로 나누는 기준은 ‘진리를 정확히 드러내는 방법’이며, 이것은 도가의 言․象․意의 관계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체중현은 ‘말에 의해 당체속의 현묘함(體中玄)을 드러내는 단계’이며, 도가의 言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말에 집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구중현을 세워야 한다. 구중현은 ‘의미없는 말을 통해 말 속의 현묘함(句中玄)을 드러내는 단계’로서, 도가의 象에 해당된다. 이 단계에서의 말은 活句이기는 하지만, 언구가 남아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마지막의 현중현은 ‘말을 떠나서 현묘하고 또 현묘한(玄中玄, 玄之又玄) 진리를 드러내는 단계’로서 도가의 意에 해당된다. 한편, 禪門綱要集은 禪門寶藏錄의 저자인 眞靜天頙이 저술한 것으로, 삼현삼요에 대한 한국 최초의 교의서이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백파긍선과 초의의순에 의해 전개된 三種禪논쟁을 유발시킨 문헌이기도 하므로, 삼현삼요해석에 있어서는 빠트릴 수 없는 문헌이다.

The Three Marvelous and Three Essentials(三玄三要) were suggested by Linji Yixuan(臨濟義玄) is very incomprehensible terms. Primarily, Xuan(玄) is the concept of Taoism and Yixuan was influenced by Taoism. Jianfu Chenggu(薦福承古) systemized the Three Marvelous as Marvel in the Essence(體中玄), Marvel in the Phrase(句中玄) and Marvel in the Marvel(玄中玄). Marvel in the Essence is the level that displays truth by using words, and is applicable to word(言) in Taoism. Marvel in the Phrase is the level that displays truth by using incomprehensible words, and is applicable to Images(象) in Taoism. Marvel in the Marvel is the level that displays truth by using skillful usage like waiting for a good while(良久), silencing(黙言), striking with a stick(棒) and shouting(喝). And it is applicable to meaning(意) in Taoism. Another hand, The text of Chan school's essence(禪門綱要集) is the first manual about The Three Marvelous and Three Essentials in Korea. Furthermore, it raised a controversy about Chan between Baekpa-gungseon(白坡亘璇) and Choyi-yisun(草衣意恂) in Chosun Dynasty.
目次Ⅰ. 서론 11
Ⅱ. 본론 13
1. 三玄三要에 대해 13
2.『禪門綱要集』에 대해 33
Ⅲ. 결론 38
ISSN15980588 (P)
點閱次數86
建檔日期2022.03.23
更新日期2022.03.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660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