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에 관한 내용분석과 의미 -- 信仰體系의 변화와 于筒水를 중심으로=Contents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 Focusing on Change of Faith System and Utongsu
作者 염중섭 (著)=Youm, Jung-seop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30 n.0
出版日期2011.12.30
頁次473 - 510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關鍵詞「五臺山西臺水精菴重創記」=; 于筒水=Utongsu; 水精菴=Sujeong-am; 金剛淵=Geumgangyeon; 五臺山=Odaesan; 信仰體系=faith system; 漢江의 始原=origin of Han River; 大勢至=Mahā-sthāma-prāpta; 阿彌陀=Amita
摘要陽村 權近의 「記文」은 고려 말 五臺山의 信仰體系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여말선초의 한양 천도 이후 한강의 시원 비정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헌이다.
오대산의 신앙체계는 慈藏의 文殊信仰에서 비롯되어 寶川의 종교체험에 의해 五臺信仰으로 변모한다. 그러나 고려의 어느 시점에 오게 되면 月精寺가 寶川의 華藏寺를 압도하는 總本寺가 되면서 五臺의 개별적인 특성에 의한 오대신앙의 총체적인 측면은 변모하게 된다.
「記文」에 나타나 보이는 水精菴의 신앙체계는, 보천에 의해서 확립된 阿彌陀를 중심으로 하는 大勢至信仰이 고려 말에 이르면, 아미타를 중심으로 하는 淨土信仰의 일반론으로 바뀌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준다. 이는 오대의 각기 다른 차별적인 신앙체계가 「記文」이 작성되기 이전에 이미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記文」의 이해를 통해서 우리는 오대산의 신앙체계 변화에 대한 하한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오대산 신앙체계의 변화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수립해 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한강의 시원과 관련해서는 「記文」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于筒水의 명칭과 관련된 문제들을 정리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부분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우통수가 수정암의 샘을 지칭하는 국집된 표현이 아니라, 五臺川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을 인지해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와 연관하여 오대천의 중심적인 상징은 金剛淵에 있다는 정리가 가능하게 된다.

written by Yangchon Gwon Geu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the clue about the faith system of Odaesan in late Goryeo and exerted a hug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Han Ri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 in early Joseon.
The faith system of Odaesan started from Jajang's Munsu faith and changed into Odae faith by Bocheon's religious experience. But, after Woljeongsa became the head temple of Buddhism overwhelming Bocheon's Hwajangsa at a certain point of Goryeo Age, the overall aspect of Odae faith by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Odae came to change.
The faith system of Sujeong-am in shows that Mahā-sthāma-prāpta faith centering on Amita established by Bocheon was changed to general Pure-land faith centering on Amita in late Goryeo. It means that each particular faith system of Odae was already collapsed before was written. That is, we can recognize the lower limit for the change of Odaesa faith system and establish a clearer standpoint about the change of Odaesan faith system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
Next, for the origin of Han River, we can als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title of Utongsu through the analysis of . And, in the process to solve this part, it turned out that Utongsu was not an expression of narrow sense designating the spring of Sujeong-am but designating the whole Odaesan. In relation with this, it became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central symbol of Odaecheon lied in Geumgangyeon.

目次Ⅰ. 序論 475
Ⅱ. 水精菴의 신앙체계 변화 477
1. 초기의 신앙구조 477
2. 중창에 의한 변화 483
Ⅲ. 水精菴과 于筒水 487
1. 『記文』의 물에 관한 기록 487
2. 한강의 시원에 관한 영향 491
3. 우통수 명칭의 타당성 495
Ⅳ. 結論 503
ISSN15980588 (P)
點閱次數202
建檔日期2022.04.02
更新日期2022.04.0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714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