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요송시대 중국 밀교의 준제진언 수용 연구 -- 『현밀성불원통심요집』을 중심으로=Chinese Esoteric Buddhism in Song dynasty influenced on Koryo Buddhism oriented with xiǎn mì yuántōng chéng fó xīn yào jí
作者 정성준 (著)=Cheong, Seong-joon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32 n.0
出版日期2012.08.30
頁次219 - 241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티벳장경연구소
關鍵詞밀교=Esoteric Buddhism; 『顯密圓通成佛心要集』=Xiǎn Mì Yuántōng Chéng Fó Xīn Yào Jí; 准提眞言=Cundi Mantra; 顯密雙修=Parallel Practice of Exoteric and Esoteric Buddhism; 중국밀교=Chinese Esoteric Buddhism; 고려밀교=Koryo Esoteric Buddhism; 道殿=Daodia
摘要현재까지 독송되어 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천수경 독송의 예참은 중국의 송요시대에 이루어진 중국불교의 밀교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다. 천수경의 독송에는 육자대명왕진언과 더불어 준제진언이 포함되어 있는데, 원래 인도불교에서 기인한 준제진언은 요시대 道殿스님에 의한 독특한 해석이 더해져 중국밀교로 하여금 새로운 국면을 맞게 하였다. 도전의 저서인 『顯密圓通成佛心要集』에서 저자는 현교의 국극적 요의를 華嚴을 중심으로 圓敎로 파악하고, 밀교의 원교는 『대일경』과 『금강정경』의 양부경전을 중심으로 해석을 가하였다. 도전은 밀교의 교상을 정의하기 위해 『대일경소』를 비롯해 태장계와 금강계의 양부 부법의 교설을 인용하고, 밀교의 실제수행은 三密加持를 비롯한 중국 중기밀교의 정통한 이론을 반영한다. 도전은 顯密兼修의 수행이념을 주장하면서 현교의 화엄을 수학하기 위해 緣起法界를 관하지만, 밀교의 실제수행에 있어서는 준제진언을 위시해 육자대명왕진언, 一字眞言 등을 수학하고, 5대실지를 성취할 것을 주장한다. 특히 준제진언에 대해서는 모든 진언을 섭수하는 것이어서 태장계, 금강계의 양대 부법에 전승된 진언수행 이상의 의미를 담아두고 있다. 준제진언과 육자대명왕진언, 정법계진언과 호신진언의 일련의 체계는 『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서 화엄과 밀교의 소통을 제시했던 도전에 의해 개시된 것이며 이러한 전통은 중국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불교의 천수경 독송의 예참에 까지 이어진 것이다. 일본에서는 준제진언의 예참을 인도밀교의 전통에 근간을 두고 행하지만, 한국밀교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태장계와 금강계의 양부부법을 배제하고 준제진언에 최고의 지위를 부여하고 화엄과 밀교의 소통을 시도한 전승을 따랐기 때문에 현재 한국의 밀교도 사라진 것이 아니라 화엄과 밀교의 융합을 통한 현밀쌍수의 전통이 천수경의 예참을 통해 현재까지 면면히 살아있는 것이다.

The tradition of reciting the Rite of Ten Thousands Armed Avalokitesvara (RTTAA.) in Korean Buddhism till today results from the development of Chinese Esoteric Buddhism of Song Liao(宋遼) dynasty. The recitation of RTTAA. includes the Cundi Mantra which originated from Indian Buddhism, but the new interpretation on the Cundi Mantra by Daodian(道殿) made Chinese Esoteric Buddhism to face a new tradition which the result influences the Korean and Chinese Buddhism of today.
In Xiǎn Mì Yuántōng Chéng Fó Xīn Yào Jí(顯密圓通成佛心要集) which were wrote by Daodian the author regarded Huayan(華嚴) as ultimate doctrine(圓敎) of Exoteric Buddhism(顯敎) and the tradition of Vairocana Tantra(大日經) and Vajra Peak Tantra(金剛頂經) as ultimate doctrine of Esoteric Buddhism. Daodia adopted the orthodox theories of two tantras as to explain the doctrines and practic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and as a result Daodia maintain the idea of practicing both of Exoteric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But in Song dynasty of Chinese Buddhism the orthodox tradition of Esoteric Buddhism founded on fundamental Indian's Esoteric Buddhism of two Tantras were vanished, so Daodia insisted the Cundi Mantra as the supreme Mantra of all Tantras which were combined with the idea of Huayan thought. The series of Mantras including Cundi Mantra, Six Letter Mantra, Guarding Mantra(護身眞言) and Purifying Dharma Realm Mantra(淨法界眞言) comes from Xiǎn Mì Yuántōng Chéng Fó Xīn Yào Jí so that those Mantras were adopted to the ceremony of RTTAA.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reciting Cundi Mantra in Japanese Buddhism founded on Indian Buddhism RTTAA. in Korean Buddhism shows the adaptation of Daodia's theory which advocated the integratiion of both Exoteric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目次국문요약문 219
Ⅰ. 서언 221
II. 『현밀성불원통심요집』의 저술배경 222
III. 화엄과 밀교의 교섭과 교상 225
1. 화엄과 밀교의 교섭 225
2. 화엄종의 밀교에 대한 교상판석 228
IV. 송대 밀교의 유전 232
1. 준제진언의 중국적 수용 232
2. 화엄의 수용과 현밀쌍수 235
V. 결어 237
Abstract 239
참고문헌 241
ISSN15980588 (P)
點閱次數404
建檔日期2022.04.19
更新日期2022.04.2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3811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