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간화(看話)와 반조(返照)에 대한 일고찰 -- 대혜(大慧)와 한암(漢巖)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Ganhwa(看話) and Banjo(返照) -- Focusing on Dahui(大慧) and Hanam(漢巖)
作者 오용석 (著)=Oh, Yong-Suk (au.)
出處題名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卷期v.41 n.0
出版日期2015.08.30
頁次167 - 196
出版者韓國禪學會
出版者網址 http://www.seonstudy.org/seon/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학교철학연구소 연구원
關鍵詞간화=看話; 반조=返照; 의정=疑情; 대혜=大慧; 한암=漢巖; 심무소지=心無所之; Ganhwa=看話; Banjo=返照; Doubt=疑情; Dahui=大慧; Hanam=漢巖; Nonthinking=心無所之
摘要본 논문은 대혜종고의 선사상에는 간화 뿐 아니라 반조라고 하는 조사선의 기본적인 공부법이 자리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혜가 강조한 의단의 특징을 심무소지(心無所之), 노서입우각(老鼠入牛角) 등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하여 대혜는 단계적인 의정의 성숙보다는 의정을 통한 사량분별이 끊어진 상태를 강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대혜가 의정의 성숙과정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은 이유는 회광반조를 통한 무념의 수행전통이 여전히 대혜의 선에 남아 있기 때문이며,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와 무념의 수행전통이 상보적 관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조사선의 핵심 사상인 무념과 돈오의 체득이 회광반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암선사의 「선문답 21조」의<제10문·제10답>에 나타난 간화와 반조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간화와 반조의 관계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상보적 관계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조사선의 충실한 계승자인 대혜의 선에 나타난 회광반조의 함의를 세 가지로 살펴보았는데 첫째로 우리 마음이 가진 분별의 상속을 끊게 하며, 둘째로 선과 악, 유와 무, 범부와 성인, 번뇌와 보리 등의 양변을 여윈 무분별심을 의미하며, 셋째로 우리 마음의 본질을 곧바로 요달하는 핵심의 공부로 대혜가 스스로 힘을 얻은 공부법임을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at in the Dahui(大慧)’s Seon(禪) thought there are practice not only called Ganhwa(看話) but also Banjo(返照).
To prove these, first I discussed that the developing process of Doubt(疑情) is not appears well in the Dahui's Seon. Dahui emphasized none-thinking(心 無所之) than the developing process of Doubt. Dahui didn’t much emphasize the developing process of Doubt, because there are still exist Banjo that the tradition practice of Zushichan(祖師禪).
The next I discussed the core ideas of Zushichan came from Banjo. Could also see tha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Ganhwa with Banjo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Encounter dialogue Article 21(禪問答 21條) of the Hanam(漢巖) gives (10 Questions, 10 Answers) that could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each other.
Finally, we can see the implications of Banjo shown on the Dahui. First, through the Banjo practice can stop continuing of delusions. Second, Banjo means that go away good and evil, rebirth and Buddha, delusions and enlightenment such as both sides of thinking. Third, through the Banjo practice Dahui gained the key point of practice.
目次국문 초록 167
Ⅰ. 들어가는 말 169
Ⅱ. 간화(看話)와 심무소지(心無所之) 171
Ⅲ. 무념(無念)과 반조(返照), 반조(返照)와 간화(看話) 177
Ⅳ. 대혜의 선에 나타난 반조(返照) 184
Ⅴ. 결어 190
참고문헌 193
Abstract 195
ISSN15980588 (P)
點閱次數79
建檔日期2022.05.22
更新日期2022.05.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080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