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일제강점기 잡지 『佛敎』의 간행과 그 성격=The Publication of “Bulgyo(『佛敎』)” Magazine and its Character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作者 김성연 (著)=Kim, Seong-yeon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5 n.0
出版日期2008.12
頁次61 - 106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關鍵詞근대 불교 잡지=Modern Buddhist magazines; 불교계 지식인=Buddhist intellectuals; 포교; 근대성=Buddhism modernity; 역경=Sutras translation; 근대 불교학=modern Buddhist scholarship; 권상로=Kwon Sang-Ro; 한용운=Han Yong-Woon; 김태흡=Kim Tae-Heub; 허영호=Heo Yeong-Ho; Buddhists’mission
摘要이 글은 근대 불교계에서 간행한 잡지 『불교』에 대해 그 발행 현황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불교계의 잡지 발간은 그 자체로 근대성을 표출하는 것이었고, 새로운 시대를 지향하는 종교임을 일반 대중에게 포교하는 최초의 시도였다. 따라서 잡지의 발행 현황과 내용을 살펴보는 일은 불교계의 근대화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며, 당시 불교의 시대정신과 문화 현상을 동시에 구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 된다.
『불교』는 기관지 성격을 지니는 월간 잡지로서 1924년부터 1944년까지 총 175호가 발행되었는데, 20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발행되었다는 점에서 단연 대표적인 잡지로 손꼽을 수 있다. 당시 잡지의 발행 예산은 불교계 전체 예산의 평균 5% 정도를 차지하는 수준이었다. 잡지의 발행부수는 매월 1,000부에서 1,500부 사이였는데, 각 사찰의 수요에 따라 차등 있게 배부되었다.
『불교』의 근대적인 성격은 게재된 글을 통해서 살펴보았는데, 그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논설에서 ‘종교’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며 불교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둘째, 많은 기행문이 게재되었는데,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의 불교 유적지까지 다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셋째, 근대 교육을 받은 엘리트들에 의해 譯經 사업이 진행되었고, 교학과 불교사에 대한 근대적인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국문으로 된 근대 불교문학 작품들이 본격적으로 게재되고 있다.
잡지 『불교』는 근대 불교계의 포교활동을 살펴보는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근대교육을 받은 불교계 지식인들이 필자로 많이 참여하고 있어 당시의 시대적 고민과 성격을 유추해 보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단순히 근대화와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잡지의 일반적인 의미를 뛰어넘어 ‘근대 불교학’ 성립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is thesis analyzes a publication status and contents of “Bulgyo” - a magazine published by Modern Buddhism. The fact that “Bulgy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 and has been published for 20 years makes it the representative magazine without a doubt. As a monthly magazine, a total of 175 magazines has been issued from 1924 to 1944. On the average, the budget for publication at that time was 5% of the whole Buddhism budget. Nearly 1000 to 1500 magazines were issued monthly and were distributed accordingly to meet each temple’s demand.
Bulgyo’s modern character is showed through the articles. First, “Bulgyo” tried to rework out the Buddhist position and make researches on region's nature in the editorial column. Secondly, “Bulgyo” carried many travel sketches which told internal and external Buddhist ruins. Thirdly, elites who had a medern education made a Sutra translation, so “Bulgyo” describes Buddhism doctrines and buddhist history modernly. Fourthly, “Bulgyo” carries modern buddhist literature written with Korean in earnest. “Bulgyo” offers practical information on Buddhists’ mission. And its writers with modern education participated, so it is a valuable information for analogy of worries and characters at that time. “Bulgyo” has great meanings that Bulgyo provided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above contribution to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目次Ⅰ. 머리말 62
Ⅱ. 『불교』의 창간배경과 발행 현황 65
1. 창간배경 65
2. 발간비용 염출과 재정난 68
Ⅲ. 주요 집필자와 글의 성향 77
Ⅳ. 편집 책임자의 교체와 성격 변화 85
Ⅴ. 주요 기사의 주제와 근대성 90
Ⅵ. 맺음말 98
ISSN1975857X (P); 26715708 (E)
點閱次數112
建檔日期2022.06.19
更新日期2022.06.1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333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