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玄空 黙庵禪師의 『義湘祖師法性偈』 科分 연구=A Study on the paragraphs and annotations of Uisang-Josa Beopseunggye written by Seon Master, Hyungong Mukam
作者 장진영 (著)=Jang, Jin-young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17 n.0 만해 용운스님 70주기 추모특집
出版日期2014.12
頁次215 - 263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關鍵詞玄空 黙庵=尹柱逸=Hyungong Mukam; 法性偈; 四分科說(信解行證); 起信論; 근대불교학=Modern Buddhist Studies; Beopseunggye-Goagi;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Beopgyedo; Faith; Understanding; Action; Enlightenment;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摘要義相(혹은 義湘)의『법계도』에 대한 주석적 연구는 의상의 직제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이후 명맥을 유지해오던 것이 화엄교학의 중흥기였던 조선후기 有聞의『法性偈科註』에 의해 새롭게 시도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玄空黙庵禪師의『義湘祖師法性偈』에 대한 科分, 그리고 간단한 偈頌과 인용경문을 담은 註記를 얻게 되어 이를 검토하였다. 먼저 현공의『의상조사법성게』과분을 의상의『법계도』및 유문의 『법성게과주』와 과분 대조를 시도하였고, 각 과분의 주기에 인용된 경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공의 과분 상에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信·解·行·證의 四分科說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둘째,『大乘起信論』의 관점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셋째,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법성게 과분에 적용시킨 점 등이다.
먼저 신·해·행·증의 체계는『화엄경』의 대표적인 분과설로 통용되었던 것이므로 그것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다만 마지막에 ‘證分’을 두어 기존의 법성게 과분과 차이점을 두면서 동시에 신·해·행·증의 불교수행체계를 통해 이를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기신론』의 心生滅門에서 사용된 本覺, 始覺 등의 내용이 의상의 "법계도"에서 밝힌 ‘증분’의 내용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원효의『기신론소』에 대한 화엄적 안목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즉 離言眞如의 경우 一法界大總相法門의 체로서 이 진여의 體[體大]가 본각에 해당하며, 무명이 타파됨에 따라 본각의 智淨相은 진여의 自體相[相大], 不思議業相은 진여의 用[用大]으로 전환됨으로써 一心(法性, 法界)과 합일하게 됨을 보았다. 한편 依言眞如의 경우 구경각에 오른 시각의 결과로서 ‘自覺智’를 얻게 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통한 법성게 이해이다. 여기서는 법성게의 증분과 교분을 본체론(실상론)과 현상론(연기론)으로 이해하면서도 ‘지증론’을 별도로 제시한 점, 그리고 공간론과 시간론을 통해 우주관을 제시한 점, 이에 대해 인생관(인간론 혹은 수증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함께 대비한 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현공은『화엄경』의 신·해·행·증의 체계를 불교사상의 핵심으로 하여 종교, 철학, (정신)과학을 종합하고 조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nnotative studies of Uisang's Beopgyedo(法界圖) has come a long way owing to his direct disciples and followers. This tradition continued with Yumun's annotation of the Beopseunggye (Beopseunggye-Goaju, 法性偈科註)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of Hwaeom(華嚴, C. Huayan). This paper examines the paragraphs and annotations of Uisang's Beopseunggye (Uisang-Josa-Beopseunggye-Goagi, 義湘祖師法性偈科記) written by Hyungong Mukam (1895~1969, Ju-Il Yun), Seon master in modern Korean Buddhism.
In this study, I compare Uisang's Beopgyedo-gi and Yumum's Beopseunggye-Goaju, focusing on annotations and paragraphs of Beopsunggye, which is composed of 30 lines and 210 characters. I also consider quotations from Hyungong's Beopseunggye-Goagi. My findings conclude that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Hyungong's paragraphs.
Firstly,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信), Understanding(解), Action(行), Enlightenment(證), of the Hwaeom School, especially in China, wa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Beopsunggye.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is a typical theory of paragraphs foun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r the Avatamsaka Sutra(華嚴經), so I think it is natural that it was applied to the paragraphs of the Beopsunggye. However, Hyungong's Beopseunggye-Goagi set the part of Enlightenment(證分) to the final position, which differs from Uisang and his disciples and Yumun's paragraphs of the Beopsunggye, that place Enlightenment in the first position. I argue that Hyungong maintains the more general and public position through the practical steps based on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Secondly, the viewpoint of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大乘起信論) was applied to understanding the Beopsunggye. I then question how primal awareness(本覺) and beginning awareness(始覺) in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armonize with the part of Enlightenment of the Beopseunggye. I consider this problem from Hwaeom's standpoint with special reference to Wonhyo's commentary of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Finally, the viewpoi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was used in paragraphs of the Beopsunggye. Hyungong attempts to harmonize Religion, Philosophy, and Science with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 Understanding, Action, Enlightenment of the Flower Garland Sutra.
目次Ⅰ. 들어가며 217
Ⅱ. 현공의 『義湘祖師法性偈』 科分과 註記 220
Ⅲ. 현공의 과분에 나타난 몇 가지 특징 241
Ⅳ. 맺음말 254
ISSN1975857X (P); 26715708 (E)
點閱次數110
建檔日期2022.07.23
更新日期2022.07.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592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