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숭산 행원(崇山行願) 선사의 선사상=Zen Master Seung Sahn’s Seon Thought
作者 신규탁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卷期v.21 n.0 개원10주년 특집
出版日期2016.12
頁次7 - 41
出版者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出版者網址 http://seonli.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숭산 행원; 점수선; 돈오선; 여래선; 조사선; 통불교=通佛敎; Zen Master Seung Sahn=崇山行願; Seon of Gradual Cultivation=漸修禪; Seon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禪; Tathagata Zen=如來禪; Patriarch Zen=祖師禪; integrative Buddhism=通佛敎
摘要이 논문에서 필자는 숭산 행원(崇山行願, 1927~2004) 선사의 선사상을 두 방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역사적 방면인데, 이 방면에서 보자면 숭산 선사는 불교의텍스트 속에 등장하는 선사상을 ‘점수선’으로 이름 붙이고, 텍스트를 초월하는 가르침을 전하려는 달마 선사 제자들의 선사상을 ‘돈오선’으로 이름 붙이고 있다. 물론숭산 선사는 이 둘 사이의 우열을 논하지는 않았다. 그의 이런 태도는 조사선(祖師禪)을 여래선(如來禪) 보다 높이 평가하는 선사들과는 입장을 달리한다. 둘째는 사상적 방면인데, 이 방면에서 보자면 숭산 선사는 송나라 시대 이후 전개된 다양한 선사상의 근본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자면, 비록 스승과 제자들마다 서로 전승하는 방식에 외형적 차이는 있지만, 그 근본에는 차이가 없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그는 한국불교 전통으로 평가되는 ‘통합불교’의 전통을 계승하려 고 노력한 선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통합적 성격이 진한 한국불교의 전통 속에서는 ‘참되고 여여한 마음’을 전제하고, 그것을 체험할 것을 강조한다. 숭산 선사 역시 이런 전제 위에서, 화두(話頭)를 관찰하는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숭산 선사가 고유하게 사용하는 화두의 일종인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도 궁극적으로는 ‘참된 여여한 마음’을 체험하게 하기 위한 일종의 화두 관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zen master Seung Sahn(崇山行願, 1927~2004)’s Seon thought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from a historical view, master Seung Sahn called the zen thoughts in Buddhist scriptures as “Seon of Gradual Cultivation(漸修禪),” and the zen thoughts of Bodhidharma’s disciples as “Seon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禪).” Yet, he did not saw them as superior or inferior to one another. This egalitarian view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other zen masters who saw “Patriarch Zen(祖師禪)” superior to “Tathagata Zen(如來禪).” Secon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master Seung Sahn did not consider various zen thoughts developed since the Song Dynasty fundamentally disparate. He argued, despite the various methods of different masters and disciples,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ir basic thought. Seen in this light, he was one of the zen masters who inherited and advocated the spirit of “integrative Buddhism” intrinsic to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n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leaning towards integration, the “true suchness of the mind” is premised as something that one should experience through practice. Based on this premise, master Seung Sahn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mplation of a hwadu(話頭禪).” Master Seung Sahn’s own hwadu “Only don’t know” is also a method of “contemplation of a hwadu” that ultimately pursues the experience of the “true suchness of the mind.”
目次Ⅰ. 문제의 제기 8
Ⅱ. 선의 역사를 바라보는 숭산의 견해 15
1. 숭산이 나누는 ‘점수선’과 ‘돈오선’ 15
2. 숭산이 생각하는 중국 선종의 전통 18
3. 숭산이 생각하는 한국 선종의 전통 21
Ⅲ. 선의 사상을 바라보는 숭산의 견해 24
1. 공안과 관련하여 24
2. 참구법과 관련하여 27
3. 계율과 관련하여 33
Ⅳ. 맺음말 35
ISSN1975857X (P); 26715708 (E)
點閱次數93
建檔日期2022.07.24
更新日期2022.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607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