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구차제정’(九次第定)을 통한 붓다의 반(般)열반은 사실일까 허구일까?=Was it a truth or fabrication on the Buddha's Parinirvāṇa according to ‘nava anupubbavihāra-samāpattiya’ (九次第定)?
作者 박대용 (著)=Park, Dae‐yong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92 n.0
出版日期2020.09
頁次9 - 33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關鍵詞붓다Buddha; 반열반=Parinirvāṇa; 구차제정=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 사선; 무색정; 알라라 깔라마=Āḷāra Kālāma; 웃다까 라마뿟따=Uddaka Rāmaputta; Four Attainments of Arūpa-loka; Four Jhānas
摘要이 논문은 ‘구차제정’(九次第定, nava anupubbavihāra-samāpattiya)을 통한 붓다의 반열반(즉 무여열반/입멸)이 사실인지 아니면 허구의 가상인지 논의하기 위함이다.
주지하다시피 최후의 순간 붓다는 그가 35세 때 이미 성취했던 일련의 무상정등각의 성취 과정들이 새삼스럽게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붓다는 구차제정의 정점인 상수멸정(想受滅定)의 상태가 아니라 다만 색계 제4선(catuttha jhāna)을 출정해 곧바로 반열반에 들었다고 전한다.
최초의 정각을 고려하면, 붓다는 그 자신의 성취 과정에 대한 분명한 선정 체험들을 제자들에게 일러 줄 수 있었지만, 반면 그가 최후의 입멸 과정에서 나타난 자신의 반열반의 선정 체험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에게도 전해 줄 수 없었으며, 다만 그의 제자인 천안제일 아누룻다의 신통에 의해 그 현상들이 인지되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제자들은 그가 상수멸정을 정점으로 하는 구차제정의 순관과 역관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사선(四禪)을 통해 반(般)열반에 드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충분히 유추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붓다는 재세 시 구차제정을 통한 깨달음의 완성과 윤회의 중지를 빈번히 설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입멸 시 색계 사선(色界四禪)을 통해 반열반(般涅槃, parinirvāṇa)에 들것이라고 한 다수의 불교 문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붓다의 입멸 과정을 통해서―지난날 성도 이전 싯다르타가 외도 스승인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에게서 배웠지만 이내 버렸던 무소유처와 비상비비상처라는 불교와 다소 이질적 요소들로 구성된―사무색정(四無色定)을 포함한 구차제정의 순관과 역관을 행함으로써, 불교는 당시 인도에서 유행했던 선정 수행 체계들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색계 사선을 열반의 최종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혹자는 “사무색정 ⊂ 상수멸정 ⊂ 색계 사선”과 같은 가치 평가가 자연스럽게 발생했다고 주장할지도 모르겠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붓다가 열반의 궁극적 완성을 위해 구상한 가장 핵심적 개념은 색계 사선이 자명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whether Buddha's Perfect Nirvāṇa (parinirvāṇa, 般涅槃) was partly true or fabricated according to the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 (=nava anupubbavihāra-samāpattiya, 九次第定).
As is known, in the process of Buddha's meditation toward Perfect Nirvāṇa, there was probably no need to search for Anuttara-samyak-saṃbodhi (無上正等覺), which had been already achieved at his age of 35. According to various texts, Buddha did not reach Perfect Nirvāṇa at meditation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saññā-vedayita- nirodha, 想受滅定), but he rightly entered the Parinirvāṇa from 4th Jhāna (catuttha jhāna, 第四禪).
Regarding the First Enlightenment, there was an apparent remark to his pupils about his own experience with Jhāna and its process. However, Buddha could not discuss the samadhi of the Perfect Nirvāṇa process with his believers, and this is perceived only through his pupil―Anuruddha―and his occult power. We can assume that Buddha's believers could sufficiently infer the last steps of the process to reach complete Nirvāṇa through the Four Jhānas (四禪) and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 (九次第定), of which the peak is the Jhāna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想受滅定). When Buddha was alive, he used to frequently preach the cessation of reincarnation through the Nine Steps of Attainments. In contrast, there is also extensive evidence in Buddhist scriptures that there were many preachings by Buddha on reaching the Perfect Nirvāṇa just through Four Jhānas.
As a result, through a step-by-step meditation process towards his complete Nirvāṇa, Buddha inclusively converged the “Four Attainments of Arūpa-loka” and the final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which are disparate aspects from Buddhism, by searching in order and in reverse order searching through the Nine Steps of (Jhānas') Attainments―which did not appear in the First Enlightenment. By applying the Four Jhānas methods to Nirvāṇa's final phase, one might insist that the evaluation of values, such as the Four Attainments of Arūpa-loka (四無色[處]定) ⊂ the final stage of the cessation of perception and feeling (想受滅定) ⊂ the Four Jhānas of Rūpa-loka (色界四禪), also naturally took place. Consequently, it is obvious that the concept of Four Jhānas appears to be the most significant core meditation process in order for Buddha to achieve Nirvāṇa.
目次Ⅰ. 문제의 소재 11
Ⅱ. 서구의 회의주의적 시각과 국내의 선행 연구들 13
Ⅲ. 붓다의 입멸은 상수멸에서 가능하지 않다! 16
Ⅳ. 붓다의 두 스승을 어떻게 볼 것인가? 18
Ⅴ. 남 ․ 북전 『열반경』 류의 반열반 프로세스: 구차제정 21
Ⅵ. 해소방안 및 결어 26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0.9.92.9
點閱次數168
建檔日期2022.08.14
更新日期2022.08.1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744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