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순수위빠사나의 정학실천 비교연구 : 마하시와 쉐우민 위빠사나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ntration Training of Suddha-Vipassanā : Focusing on Mahasi Vipassanā and Shweoomin Vipassanā
作者 정준영 (著)=Jeong, Jun-young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83 n.0
出版日期2018.06
頁次245 - 27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關鍵詞마하시=Mahasi; 쉐우민=Shweoomin; 순수 위빠사나=suddha vipassanā=dry-visioned; 미얀마=Myanmar; 정학=定學=concentration; 사띠=마음챙김=sati; 집중; mindfulness
摘要오늘날 진행하는 대부분의 위빠사나는 순수위빠사나 수행이다. 본고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마하시와 쉐우민의 순수위빠사나 수행법을 정학(定學)의 범주로 구분하여 비교한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사이 미얀마에서 만들어진 위빠사나 수행법이다. 초기경전을 기준으로 정학을 실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수행법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마하시 위빠사나의 노력은 열심히 인내하고 정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쉐우민 위빠사나의 노력은 긴장 없는 편안한 마음을 강조한다. 이들은 힘을 주는 노력과 힘을 빼는 노력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하시의 사띠는 신수관과 수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수행자는 사띠를 감각이라는 대상에 밀착하고자 노력했다. 쉐우민의 사띠는 심수관과 법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수행자는 마음이라는 다양한 대상에 거리를 두어 알아차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사띠는 밀착과 거리두기를 통해 감각과 마음이라는 서로 다른 대상에 적용된다. 셋째, 마하시는 찰나집중을 활용하여 오장애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위빠사나 선정도 발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쉐우민의 집중은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이완이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밖에도 수행의 발전과정이나 목표에 있어서도 이들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순수위빠사나라는 동일한 이름이 수행의 방법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마하시는 『위숫디막가』를 기준으로 상좌부불교의 수행전통을 고수하고자 노력한다. 분리와 분석이라는 전통적 사고를 활용하여 몸과 마음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상대적으로 후대에 개발된 쉐우민은 마하시의 어려움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위빠사나를 다루는 수행전통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수행법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동시에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전통적 수행법이 새로운 해석에 희석될까 염려된다.

Contemporary Vipassanā meditation is mostly performed in the style labeled ‘dry-visioned’ or ‘suddha-vipassanā’.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fferent suddha-vipassanā techniques of Mahasi and Shweoomin in terms of concentration training. Both of these vipassanā meditations were developed in Myanmar in the late 1950s and are commonly taught to cultivate concentration training using the scriptures of Early Buddhism (Pāli-Nikāya). However, they diverged in practice methods. First, Mahasi vipassanā urged practitioners to be patient in the face of difficulty and to practice diligently, while proponents of Shweoomin vipassanā place importance on calming the mind to eliminate tension. Thus, the difference is “effort with strain vs. effort without strain.” Second, in Mahasi vipassanā, sati wa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body and contemplation of feeling. Practitioners try to remain aware of their senses, that is, the objects of medit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ati i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mind and contemplation of Dhamma. Practitioners keep various perceptions at a distance in their minds to sustain clear awareness. Thus, the techniques differed in that, in the first, sati was applied to senses or objects of the mind by focusing on them, and in the second, they were kept at a distance. Third, Mahasi vipassanā seeks to eradicate the five hindrances by using momentary concentration and developing vipassanā absorption (when needed). Conversely, concentr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trays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concentration and, rather, seeks to attain relaxation or a stable stat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ethods are clear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actice and goals of meditation. Although both of them share a common name, suddha-vipassanā, they differ in terms of method of practice. Mahasi attempts to retain the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by following the standard of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By making the most of the traditional processes of division and analysis, Mahasi vipassanā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and mind. Shweoomin vipassanā, which developed later than the Mahasi vipassanā, appears to attempt to overcome or eliminate this complexity of Mahasi. However, Shweoomin strays from mainstream traditional vipassanā practice and attempts a renewed interpretation and practice. By compar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ssessment of various meditation techniques. However, some concerns remain about the possible dilution of traditional practice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centuries of practical experiences.
目次I. 들어가는 말 247
II. 두 가지 순수위빠사나 248
1. 마하시 위빠사나 249
2. 쉐우민 위빠사나 251
III. 정학의 실천비교 252
1. 올바른 노력 252
2. 올바른 사띠 255
3. 올바른 집중 259
IV. 마치는 말 264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8.06.83.245
點閱次數170
建檔日期2022.08.24
更新日期2022.08.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19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