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초기불교에 있어 행복과 욕망=Happiness and Desire in Early Buddhism
作者 조준호 (著)=Cho, Joon-ho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3 n.0
出版日期2015.12
頁次93 - 115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關鍵詞행복=幸福=Happiness; 낙=樂=Pleasure; 욕망=慾望=Desire; 수=受; 고=苦=Suffering; 인과=因果=Cause and Effect; 사성제=四聖諦=the Four Noble Truths; Feeling
摘要본고는 붓다가 제시한 행복론과 욕망론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불교의 출발은 행복의 대응개념인 고통에 대한 통찰에 있고 목적은 고통의 극복에 있다. 사성제가 붓다의 중심 가르침으로 이해되는 이유이다. 붓다는 인간의 존재현실이 괴로운 상황에 처해 있음을 밝히고 이는 욕망과 관련한다고 한다. 그래서 괴로움이 제거된 행복의 조건은 바로 욕망의 제거에 있음을 강조한다. 불교행복론은 기본적으로 빠알리나 산스끄리뜨의 sukha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아야 하며 붓다는 욕망과 행복을 여러 종류와 위계로 설하고 있다. 또한 행복을 수온의 범주로 배속시킨다. 기본적으로 소욕지족이라고 하는 붓다의 행복론은 욕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있어 현대 행복론과 상통하는 점이 있다. 또한 불교 행복론은 보시와 지계라는 도덕적 실천에 기초한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덕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불교 행복론은 무엇보다도 붓다의 중심 가르침인 사성제 체계에서 그 대의가 있다. 사성제법에 의하면 행복감은 원인적인 그 무엇이 아니라 원인에 따른 결과이다. 수온과 관련한 행복과 고통은 인과(因果)적 차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인과의 차원에서 행복감은 좋다고 하여 무작정 얻으려하거나 지속시키려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느낌과 감정으로서 행복감은 원인적인 행위에 대한 결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의지적으로 의도적으로 지속시키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사성제의 체계에서 보여주듯 고통이 싫다고 해서 바로 버릴 수 있는 성질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대신 고통은 철저히 이해해야 할 성질이다. 철저하게 이해할 때 고통의 원인 또는 이유는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통의 근거를 제거할 때 행복의 결과가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이 바로 사성제에서 보여주는 행복론이다. 결과적으로 고통이란 것이 원인이 아니고 결과이기에 결과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원인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괴로움에서 벗어나려면 괴로움을 제대로 통찰해야 만이 가능하다는 행복의 역설이 내포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desire in early phase of Indian Buddhism. As we know that heart of Buddhist thought is to overcome the suffering through the insight of human condition. That is why the Four Noble Truths of the Buddha are the framework of Buddhism to eliminate the cause of suffering. According to the Buddhism, human beings are subjected to be in the state of undergoing suffering. Moreover, such suffering is associated with desire. For this reason, the Buddha emphasized this condition of happiness is depended upon the removal of desire. First of all, Buddhist concept of happiness have to discussed on the term sukha. The word is a Sanskrit or a Pali that is translated happiness, ease, pleasure. In the early Buddhist text, the term is used in a general sense to refer to happiness and well-being in either this present life or future lives. Happiness is placed the aggregate of sensation (vedanākkhaudha) under the basic category of the five aggregates(pañcakkhandhā). In the Buddhist frameworks of the five aggregates and dependent origination(paticcasamuppāda), feelings or sensations(vedanā) arise from the contact of an external object with a sensory organ and consciousness. Such feelings are generally described to be one of three types: pleasant (sukha), unpleasant(dukkha), or neither-unpleasant-nor-pleasant (adukkha-asukha). Moreover, this technical term is described different types and hierarchies of the desire and happiness. The highest happiness(nibbāna) entails the foundational extinction or blowing out of the processes of unwholesome desire, aversion, and delu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wakened experience, the latter deleterious processes are appreciated as agitations of the mind. In comparative contrast to such agitation, sukha and its cognates are at places in the Buddhist texts used to characterize the calmness of nibbāna. Buddhist concept of happines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odern theories of happiness at various point. Above all, the Buddhist way of happiness is on the Four Noble Truths at the core of the Buddhism. Analytical study of the Four Noble Truths makes us conclude that happiness is the result of the cause, not the cause in the cause-effect link. Happiness and suffering can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from a cause-and-effect level. It means happiness as a result of the cause limits to continue deliberately sustained. Similarly, it is not natural that suffering is discarded immediately according to system of the Four Noble Truths. Instead, suffering is natural to understand completely. The cause of the suffering might be removed through understanding. Proper penetration of suffering leads to eliminate the causal grounds. It is thereby subsequent to the result of happiness. Suffering as the matter of result can not be solved in the cause. This may imply that the paradox of happiness is only possible to have insight into the bitter well away fro
目次〈한글요약〉94
Ⅰ. 들어가는 말 95
Ⅱ. 행복론의 기본 이해 96
Ⅲ. 욕망과 행복의 상관관계 103
Ⅳ. 행복과 고통 그리고 욕망 106
Ⅴ. 마치는 말 110
〈참고문헌〉 112
〈Abstract〉114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5.12.73.93
點閱次數69
建檔日期2022.09.11
更新日期2022.09.1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67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