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Enchanting Monks and Efficacious Spells -- Rhetoric and the Role of Dhāraṇī in Medieval Chinese Buddhism
作者 McBride, Richard D., II (著)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72 n.0
出版日期2015.09
頁次167 - 200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英文=English
附註項Associate Professor of History, Brigham Young University-Hawai'i
關鍵詞다라니=dhāraṇī; 신주; 주술; 총지; 진언; 구마라집=Kumārajīva; 정영혜원=Jingying Huiyuan; 도세=Daoshi; 불공; mantra; Amoghavajra
摘要다라니에 뛰어난 주술승들은 중세 중국의 불교 전파에 핵심적 역할을 하였으며 불교 전기문학에도 긍정적인 관점에서 기술되어 있다. 다라니는 흔히 초기 탄트라 또는 밀교의 한 형태라고 여겨지지만 이 논문에서는 다라니가 중세 중국의 주류 불교에 널리 퍼져있던 행법임을 밝힌다. 다라니는 베다의 진언에 대한 불교적 대응으로서 언어의 주술적 힘이라는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을 뿐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의례 절차의 올바른 수행을 통해서도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 논문은 구마라집이 번역한 ??大智度論??, 淨影慧遠의 『大乘義章』, 道世의 『法苑珠林』, 그리고 不空(Amoghavajra)의 저술로 여겨지는 『總釋陀羅尼義讚』과 같은 불교경론 자료에 등장하는 다라니에 대한 여러 교리적 정의를 분석한다. 어떤 학자들은 다라니를 진언과 구별하고자 하지만 중세 중국 불교의 저술가들은 이 두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도세의 『법원주림』은 다라니가 7세기 종교적 수행법의 일상적인 한 측면으로 여겨졌었고 매우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졌음을 명확히 논증하고 있다. 게다가 다라니는 중국불교에 널리 퍼져 있어 중국 불교수행의 모든 측면에서 발견되며 도교 수행자들에 의해서도 모방되었다.


Monk thaumaturges, who were distinguished by their mastery of dhāraṇī techniques played a seminal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Buddhism in medieval China and are remembered fondly in Buddhist hagiographical literature. Although dhāraṇī are often viewed as proto-Tantric or early Esoteric Buddhism, this paper asserts that dhāraṇī were dhāraṇī were a widespread and popular practice in mainstream medieval Chinese Buddhism. Dhāraṇī function not only on the principle of the magic power of words, as a Buddhist response to Vedic mantras, but also through the correct performance of ritual procedures. This paper analyzes several scholarly definitions of dhāraṇī found in Buddhist canonical sources: Dazhidu lun 大智度論 translated by Kumārajīva, Jingying Huiyuan's 淨影慧遠Dasheng yizhang 大乘義章, Daoshi's 道世 Fayuan zhulin 法苑珠林, and the Zongshi tuoluoni yizan 總釋陀羅尼義讚 attributed to Amoghavajra. Although some scholars attempt to differentiate dhāraṇī from mantra, medieval Chinese Buddhist writers used both terms interchangeably. Daoshi's Fayuan zhulin, in particular, clearly demonstrates that dhāraṇī were believed to be an ordinary aspect of religious practice in the seventh century, and that dhāraṇī were employed for very practical purposes. Furthermore, dhāraṇī became such a pervasive part of Chinese Buddhism that they are found in all aspects of Chinese Buddhist practice and were copied by proponents of Daoism.
目次한글요약 168
Ⅰ. Introduction 169
Ⅱ. Spell Masters in Buddhism and Chinese Religion 174
Ⅲ. Dh?ra?? in Jingying Huiyuan"s Mah?y?na Encyclopedia 178
Ⅳ. Dh?ra?? in Daoshi"s Buddhist Encyclopedia 179
Ⅴ. The Role of Rhetoric 183
Ⅵ. A Definition of Dh?ra?? Attributed to Amoghavajra 184
Ⅶ. Conclusion 188
Bibliography 192
Abstract 199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5.09.72.167
點閱次數152
建檔日期2022.09.12
更新日期2022.09.1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871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