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승랑과 승조 -- 생애와 사상, 영향과 극복에 대한 재조명=Seung-Rang승랑(僧朗) and Seng-Zhao승조(僧肇)
作者 김성철 (著)=Kim, Sung-chul (au.)
出處題名 불교학보=佛教學報
卷期v.61 n.0
出版日期2012.02
頁次9 - 37
出版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出版者網址 https://abc.dongguk.edu/kbri/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교수
關鍵詞승랑=Seung-Rang; 승조=Sēng-Zhào; 조론=Zhào-Lùn; 현학=Xuán-Xué; 이제=Satya-dvaya; 삼론=Sān-Lùn
摘要구마라습이 전한 인도의 중관학은 중국의 전통적 형이상학인 현학(玄學)과 만나서 ``동아시아적 중관학``인 삼론학이 창출되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삼론학의 가르침은 불교교학의 뒷전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하북에서는 아비달마, 강남에서는 『성실론』이 불교교학의 중심에 있었다. 승랑은 구마라습 사후 잊혀지고 왜곡되던 삼론의 가르침을 강남의 불교계에서 부흥한 인물이며 승랑을 기점으로 그 이전의 삼론학을 고삼론, 이후의 삼론학을 신삼론이라고 부른다. 승랑과 승조. 승랑은 신삼론의 시조이고 승조는 고삼론의 대표적 저술가인데, 그 성향은 상반되었다. 승조는 후진의 황실과도 가까이 지냈고, 적극적으로 저술 활동을 했으며, 그 전기도 『고승전』에 실려 있는 반면, 승랑은 양무제의 초청을 거절하고 섭산에 은둔하면서 수행과 교화에 전념하였고, 『화엄의소』를 지었다는 기록은 있지만 단 하나의 저술도 남아 있지 않으며, 독립된 전기도 전하지 않는다. 승조가 구체적인 역사 속 인물이라면 승랑은 전설의 인물이었다. 승조의 논문 모음집인 『조론』 가운데, 「물불천론」에서는 ``동(動)과 정(靜)의 상즉``, 「부진공론」에서는 ``유와 무의 상즉``, 「반야무지론」에서는 ``지(知)와 무지(無知)의 상즉``, 「열반무명론」에서는 ``세간과 열반의 상즉``을 논변한다. 승조의 사상은 한 마디로 ``상즉의 비판론``이었다. 상즉이란 "A이면서 not-A이다."라는 명제로 표현되기에 중관학의 4구판단 가운데 제3구에 해당한다. 인도 중관학의 경우 제1구와 제2구를 비판할 때 제4구를 사용하였는데, 승조는 제3구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독특하였다. 승조의 사상 가운데 많은 내용이 승랑에 의해서 발전적으로 계승되었다. 승랑의 사상은 ``이원적(二元的) 범주론``, ``상즉의 실상론``, ``방편적 교화론``, ``무득(無得)의 오도론(悟道論)``의 네 가지로 정리되는데 그 가운데 ``상즉의 실상론``이 승조의 사상에 근거한다. 현학에서는 명교(名敎)를 ``유``, 자연을 ``무``로 보았는데, 승조는 ``유``와 ``무``를 모두 명교로 격하시키고, ``비유비무``를 진제(眞諦)라고 불렀다. 명교는 이제(二諦) 가운데 속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승랑은 명교와 진제 모두를 ``속제``인 교법으로 격하시키면서 속(俗)도 아니고 진(眞)도 아닌 ``비진비속``을 이법(理法)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중가(中假), 체용(體用) 등의 이원적 범주들을 새롭게 도입하고 변증법적으로 직조함으로써 무득(無得)의 정신에 투철하였다.


Seung-rang(circa 450~530C.E.) was the Patriarch of New Sān-Lùn(三論) sect and Sēng-Zhào(384~414) was a representative figure among Old Sān-Lùn monks. Sēng-Zhào was a disciple of the great translator Kumarājīva(344~413). His treatises on Universal flux, Śūnyatā, Prajñā and Nirvāṇa are compiled as a book Zhào-Lùn(肇論). He made a commentary on Vimalakīrti-nirdeśa-sūtra and wrote introductions on some Buddhist scriptures. We can read his biography in Gāo-Sēng-Chuán(高僧傳). It is not so difficult for us to know his life and understand his thoughts. He was familiar with Yáo-Xīng(姚興) an Emperor of Hòu-Qín(後秦). Sēng-Zhào was a concrete historical character and a monk of engagement.
On the contrary Seung-rang's life is obscure and his philosophy has not been identified clearly. He is a man of legend. If we want to reconstruct the life story and philosophy of Seung-rang, we should gather all the sentences that describe Seung-Rang in the historical materials. There are so many names that indicate the masters of Sān-Lùn. To investigate objectively on the life and thoughts of Seung-Rang, first of all we should confirm those names that indicate only Seung-Rang. Some scholars insisted that Do-rang(道朗) is the real name of Seung-Rang. But Do-rang(道朗) is guessed to be a misreading of Dae-Rang(大 朗) written in grass hand style. In the year 512, Wǔ-Dì(武帝) of Liáng(梁) Dynasty invited Seung-Rang to his palace, but Seung-Rang refused the invitation because he preferred a life as a recluse.
When Sēng-Zhào was young, he earned money by copying scriptures. He was interested especially in Lăo-Zǐ(老子). But he was not satisfied with the teaching of Lăo-Zǐ. One day, Sēng-Zhào read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 and said “At last I know where I should be!” In Sēng-Zhào's treatises we can find the influences of Xuán-Xué(玄學) which is a metaphysics based on the teachings of Lăo-Zǐ, Zhuāng-Zǐ and Yì-Jīng(易經). There is a legend that tells the reason of Sēng-Zhào's death. Sēng-Zhào made Yáo-Xīng(姚興) angry and was executed. Before the time of death Sēng-Zhào wrote a poem as follows. “Originally, there is no owner in the ‘Four elements of the body’ and all the ‘Five Skandhas’ are empty. The white blade of a sword is now ready to cut my neck. But it seems like an event of cutting a spring wind.”
We can reconstruct Seung-Rang's chronology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regarding him. It is as follows.
450C.E. circa: born in Yo-Dong(遼東) of Go-Gu-Ryeo(高句麗).
470C.E. circa: received the full precepts to be a monk in Yo-Dong.
After 476C.E. circa: left for China.
476~479C.E. circa: perhaps visited Dùn-Huáng(燉煌), Chăng-Ān(長安) and Pīng-Chéng(平城) and learned Sān-Lùn philosophy.
479C.E.: came to Jiàn-Kāng(健康) area in the
目次I. 승랑과 승조의 상반된 삶 11
II. 승조와 승랑의 생애 12
III. 승조와 승랑의 사상 21
IV. 승랑에게서 보이는 승조의 영향 28
V. 승조를 극복한 승랑의 유무론 30
ISSN12261386 (P)
點閱次數120
建檔日期2022.09.24
更新日期2022.09.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4970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