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구원론적 관점에서 본 테라와다 불교의 효=Filial Piety in Theravāda Buddhism: A Soteriological Perspective
作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43 n.0
出版日期2015.02
頁次183 - 217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강사
關鍵詞효=孝; 바라문교=Brahmanism; 테라와다 불교=Theravāda Buddhism; 구원론; 순차적인 공부=anupubba-sikkhā; 차제설법=次第說法=ānupubbi-kathā; 「사마 자따까」= Sāma-Jātaka; 정신적 청정; Filial piety; Soteriology; Gradual method of training=anupubba-sikkhā; Gradual discourse=anupubbi-kathā; Sāma-Jātaka; Mental Purification
摘要본 논문의 목적은 빨리 성전과 그 주석서를 바탕으로 구원론적 관점에서 테라와다 불교의 효(孝)를 조명하려는 것이다. 불교가 흥기하기 전의 고대 인도에서 효는 사회적 규범과 질서로서의 다르마(dharma)에 총섭되며, 가계의 상속과 조상에 대한 제사(pitṛ-yajña)가 그 기본이었다. 테라와다 불교는 이러한 바라문교의 효 개념을 구원론적인 요구에 맞추어 수용하였다. 테라와다 불교에서 도덕은 단순히 행위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청정을 돕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즉 도덕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구원에 이르는 도(道, magga)에서 예비 단계이다. 그리고 구원은 순간적인 직관으로 얻어지지 않고 단계적인 수련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얻어진다. 효도 도덕에 총섭되기 때문에 그 궁극적 목적은 윤리적이기보다는 수행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래서 효의 실천이 주는 사회와 가정을 결속하는 공적인 이익보다는 정신적 청정이라는 개인적 이익이 더 중요하다. 이는 「사마 자따까(Sāma-Jātaka)」에서 붓다가 효의 실천을 통해 정신적 청정을 이룬 비구에게 사성제(四聖諦, cattāri-ariya-saccāni)를 설한 데에서 잘 나타난다. 불교는 자식이 부모를 맹목적으로 복종하는 것은 진정한 효가 아니며, 부모가 도덕적으로 부족하거나 어리석다면 자식은 구원에 이르는 도로 부모를 인도해야만 한다고 본다. 이렇게 해야만 부모도 자식들이 실천하는 효로부터 정신적 청정을 얻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테라와다 불교의 효는 본질적으로 자식과 부모 모두의 정신적 청정을 돕는 출세간적 덕목으로 재해석되었다. 그러므로 테라와다 불교에서 효는 별로 중요하지 않으며 출가수행에 걸림돌일 뿐이라는 통념이나 인도 불교는 바라문교의 통속적 윤리인 효와 타협하여 효를 실천했을 따름이라는 주장이 논박된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filial piety in Theravāda Buddhism from a soteriological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Pāli canon and its commentaries. In Brahmanism, filial piety were basically the maintenance of lineage and offering to ancestors (pitṛ-yajña) and thu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dharma as social order or principle. In Theravāda Buddhism, morality is not prescribed merely as guides to action, but primarily as aids to mental purification. In other words, morality is not for its own sake, but is an preliminary stage on the path to the final goal, nibbāna. Salvation is achieved only as the final phase of a gradual process of discipline (anupubba-sikkhā) and not in a sudden act of intuition. Since filial piety is generally included in morality, its ultimate goal is not so much ethical as spiritual. Thus, i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personal benefit of spiritual purification is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public benefit of uniting society and family. This is well demonstrated in the Sāma-Jātaka that the Buddha taught the Four Noble Truths (cattāri-ariya-saccāni) to a bhikkhu who had accomplished mental purific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On the part of Theravāda Buddhism, filial piety is not merely blind loyalty to one’s parents. If parents are morally weak and ignorant, their children should guide them to the right path leading to salvation. Only by doing so, parents too are spiritually benefited from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In this manner, the concept of filial piety has been re-interpreted as supermundane value which is spiritually beneficial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Therefore, a common notion that filial piety has no special place in Theravāda Buddhism or can be even an obstacle to ascetic life, and an assertion that filial piety in Indian Buddhism is nothing but a Buddhist compromise with the Brahmanical ethics of filial piety operating at the popular level can be reputed.
目次I. 들어가는 말 187

II. 구원론과 도덕, 그리고 효 192

III. 구원에 이바지한 효의 사례들 200
IV. 나가는 말 207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5..43.006
點閱次數63
建檔日期2023.01.29
更新日期2023.01.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178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