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혜심의 공안선 이해와 『선문염송집』=Hyesim' understanding of Gonganseon(公案禪) and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作者 조명제 (著)=Cho, Myung-je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42 n.0
出版日期2014.08
頁次59 - 91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신라대 사학과 교수
關鍵詞혜심=Hyesim=慧諶; 선문염송집=Jongmuntongyojip=宗門統要集; 문자선=A work on seon talks=文字禪; 공안선=Gonganseon=公案禪; 간화선=ganhwaseon=看話禪; Seonjongsongoyeonjujip=禪宗頌古聯珠集;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摘要종래 혜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그의 어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그가 편찬한 『禪門拈頌集』(이하 『염송집』)과 관련된 문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염송집』은 혜심이 중심이 되어 수선사에서 편찬한 공안집이기 때문에 수선사가 공안선을 어떻게 수용하고 이해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염송집』은 송대의 공안집인 『통요』, 『송고연주』, 『연등회요』 등을 기본적인 저본으로 활용하였으며, 『경덕전등록』을 비롯한 전등사서도 참조하여 편찬되었다. 또한 『염송집』에 수록된 방대한 착어는 운문종, 조동종, 임제종의 어록을 폭넓게 수집하여 배열한 것이다. 『염송집』에 수록된 착어의 내용은 모두 문자선과 관련된 내용이며, 그것을 통해 『염송집』은 문자선의 집성이라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성격은 『염송집』에 북송의 문자선을 집대성하면서, 그것을 간화선으로 전환하는 단초를 연 문헌인 『벽암록』이 전혀 수록되지 않은 것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염송집』에는 대혜의 착어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모두 간화선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염송집』의 본칙 12칙에 나누어 길게 인용되어 있는 대혜의 「秦國太夫人請普說」은 無字 화두를 강조하는 내용이 중심이지만 혜심은 간화선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단 하나도 언급하지 않고, 단지 『염송집』의 공안에 대한 착어로서 인용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염송집』의 내용과 성격이 문자선의 이해에 있으므로 혜심이 수용하고 이해한 공안선에서 아직까지 간화선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혜심은 대혜와 같이『無字』화두를 특별히 강조하지 않으며, 심지어 無心, 無事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혜심은 간화선을 수용하면서도 여전히 문자선의 이해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혜심의 공안선 이해 수준은 수선사 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진 공안집인 『禪門三家拈頌集』의 편찬, 공안 주석서인 『禪門拈頌說話』 저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이 13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저술, 편찬된 것은 여전히 간화선보다 문자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주된 흐름이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나아가 이러한 흐름은 수선사만이 아니라 13세기 후반의 선종을 주도한 일연의 가지산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Seonmunyeomsongjip』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修禪社)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Seo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Seo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Seon of Discourse. This study was a basic literature study of 『Seonmunyeomsongjip』 focused on comparing it to Seon text in Sung Dynasty. 『Seonmunyeomsongjip』 included the scriptures of Buddha, India, and China. It particularly organizes the footnotes of old scriptures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North Sung Dynasty. Among the footnotes of 『Seonmunyeomsongjip』, interpretation was almost completely quoted from 『Seonjongsongoyeonjujip』. Unmun sect(雲門宗) led meditation school in the period of North Song and created a new flow of Seon called A work on zen talks. 『SeonmunYeomsongjip』 collectively shows aspects of accepting Seon of such Unmun Sect in Goryeo.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arranging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seon meditation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on a whole scale, these could be known as below. Because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of Unmun Sect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edited by Suseonsa is basically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A work on seon talks, it is far from essential character of Unmun Sect before A work on seon talks. Unlike previous studies, seon of Hyesim is deep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Gongan reviews. In other words, it is inappropriate to evaluate acceptance of seon meditation with given topic too highly. Therefore th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Gonganseon in hyesim, ganhwaseon(看話禪) still does not account for the central location. Hyesim is like Daehye' muja whadu(無字 話頭) for special emphasis, even mindless(無心), no-business(無事) was also emphasized. Thus, Hyesim is accommodating ganhwaseon, still the stages of the A work on seon talks(文字禪) seemed to understand.
目次머리말 63

I. 선문염송집의 구성과 편찬 방향 65

II. 선문염송집을 통해 본 혜심의 공안선 이해 75
맺음말 83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4..42.002
點閱次數147
建檔日期2023.01.29
更新日期2023.01.29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18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