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인도밀교 만다라의 교육사상 전개 - 유가계와 무상유가계의 부족 비교를 중심으로=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Buddhist Education reflected on Maṇḍala in Esoteric Buddhism of India by Comparision between Yoga and Anuttarayoga Tantra System
作者 정성준 (著)=Cheong, Seong-joon (au.)
出處題名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卷期v.40 n.0
出版日期2013.08
頁次83 - 118
出版者普照思想研究院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강사
關鍵詞만다라=Maṇḍala; 불교교육=Buddhist Education; 대일경; 금강정경; 딴뜨리즘; 부족사상; 삼밀가지; 미세유가=Sukṣuma-yoga; Maha-vairocana Sūtra; Vajra-peak Tantra; Tantrism; Kūla
摘要밀교의 만다라는 근본경전에 담긴 수행이념을 도상과 수인, 진언을 통해 구현한 것이다. 만다라의 본존은 경전이 목표로 한 궁극적 정각자를 나타내며 만다라의 조직은 수행자가 관상하고 향상해야할 내면적 의식을 나타낸 것이다. 만다라는 대승불교의 역사상 수행자의 의식을 정각으로 향상시키는 가장 조직적이며 정교한 불교교육체계의 백미라 평가할 수 있다. 인도밀교상의 전개에서 중기밀교를 구성하는 금강계만다라의 오선정불은 오온을 배대하여 수행자가 심식으로부터 현상적 외계에 접근하거나, 12지연기설에서 보이듯 무명의 의식으로부터 생사의 존재로 전개되는 과정을 佛智의 관조를 통해 佛身의 화신의 영역으로 구현하는 수행이라 할 수 있다. 『祕密集會딴뜨라, Guhyasamāja-tantra』를 비롯한 후기밀교시대에는 범부의 육신과 중음, 그리고 죽음을 화신과 보신, 법신의 佛身으로 전환하려는 수행이념을 경궤의 만다라에 반영하고 있다. 유가딴뜨라와 무상유가딴뜨라를 이루는 만다라의 기본구성은 만다라를 중심으로 수행자를 깨달음으로 이끌려는 불교의 교육체계상의 시대적 변화와 역사적 과제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ideas of Esoteric Buddhism concerning the nature of Five Buddhas and the Behavior of Yoga found in Anuttara-yoga Tantra system was succeeded from Vajra-peak Tantra and the basic concepts of those ideas were eventually developed to the Maha-sūkha idea and Sukṣuma yoga system in the era of Buddhist Tantrism producing vast scriptures and religious materials of rites. The accomplishment[siddhi] of Buddhist Tantrism was to overcome the limit of idealism and epistemology of Buddhist ideas that change the physical body and intermediate state into the nature of Buddhas. The values of physical and intermediate state of ordinary body of human beings are graduated to the realm of truth and Buddhas and as an expedient of accomplishing those ideas the Yogācāra practice and Sukṣuma yoga were adopted to the Anuttarayoga practice in the age Buddhist Tantrism. The idea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basis (轉依, (āśraya- parivṛtti) in Yogācāra practice and the family(kula) provided theories that make it possible to transform the three state of ordinary body of people to that of Buddhas, namely Dharma-kāya, Saṃbhoga-kāya, and Nirmāṇa-kāya, so that Buddhist Tantras and rites shows the development of those concepts into practices and adopts those ideas to the Maṇḍalas of root Tantras. So the history of Maṇḍalas in Tantric Buddhism in India by the standpoint of educational tools shows the refine and extreme expedient of religious practices tries to transform the metal desire, ignorances and physical body into the nature of Buddhas as accomplished ones.
目次I. 서언 86
II. 인도밀교 유가행의 성립과 전개 88
1. 금강정경의 유가행 사상 88
2. 미세유가와 대락사상 93
III. 오선정불과 부족사상의 전개 96
1. 금강계만다라 부족의 해석 97
IV. 부족사상을 통해 본 유가행의 의의 108
V. 결어 113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3..40.003
點閱次數40
建檔日期2023.01.30
更新日期2023.01.30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349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