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정행사와 서호계념회=Jeonghaengsa(淨行社) and West Lake Gyenyeomhoe Association (西湖繫念會)
作者 최복희 (著)=Choi, Bok-hi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36 n.0
出版日期2021.12
頁次193 - 218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부교수.
關鍵詞정토결사=Pure Land Association=淨土結社; 연사=Yeonsa=蓮社; 정행사=Jeonghaengsa=淨行社; 서호; Faith Association=信仰結社; 계념회=Gyenyeomhoe=繫念會; Seongsang=省常=성상; 서호결사=West Lake Association=西湖結社; 왕고=Wanggo=王古; 육준=Yukjun=陸浚; 왕단=wáng dàn=王旦
摘要여산 혜원의 정토결사는 동아시아 불교의 유구한 역사에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본고는 중국 항저우의 서호지방을 중심으로 10-13세기까지 일어난 정토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0세기 성상(省常)은 여산 혜원의 가풍을 흠모하여, ‘정행사(淨行社)’라는 결사를 결성하고, 『낙방문류』 등의 문헌에 연사(蓮社)의 조사(祖師)로 기록되었다. 그런데, 성상은 아미타불 염불이나, 정토경전을 독송하지 않았다. 혈서(血書)로 『화엄경』「정행품」을 사경하고, 인쇄하여 보시하는 등, 외적으로는 정토수행이라기 보다는 화엄행자적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선도가 『관무량수경』을 전거로 하여 설한 정토왕생의 삼복(三福)을 근거하면, 정행사의 의의는 삼복 가운데, 행복(行福)을 실천한 정토수행인 것이다. 성상의 정행사를 후대의 문헌에는 ‘서호결사(西湖結社)’라고 하는데, 이는 정행사 수행법의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서호결사는 정행사 대표였던 문정공단(文正公旦)의 증손인 왕고(王古)에 의해서 칭명염불과 방생을 겸한 수행으로 전개된다. 또한, 왕충(王衷)도 서호결사를 하였는데, 방생에 대한 기록은 없고, 『아미타경』 독송과 칭명염불의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이 왕고의 서호결사와 다른 점이다. 한편, 서호지방에는 서호결사와는 다른 ‘서호계념회(西湖繫念會)’에 대한 기록이 전하는데, 이는 불상(佛像)을 계념의 대상으로 한 정토수행이다. ‘계념’은 ‘생각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한다.’는 의미인데, 육준(陸浚)이 정토왕생의 인(因)으로 불상, 즉 붓다를 계념의 대상으로 한, 경전의 전거는 『비화경』과 『불설관무량수불경』 등에서 찾을 수 있다. 12세기 후반에 일어난 고려의 수선사와 백련결사는 중국 서호지방의 정토결사와 거의 동시대이다. 이 시대에 있었던 양국의 결사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에 기대하여 본다.

Yeosan's Jeongtogyeolsa unfold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in the long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m. This study examines the Jeongtogyeolsa that occurred from the 10th to the 13th century, focusing on the West Lake region of Hangzhou, China. In the 10th century, Seongsang admired the family style of Yeosan Hyewon, formed an association movement called 'Jeonghaengsa', and was recorded as Josa (Patriarch, 祖師) of Yeonsa (蓮社) in the literature such as “Lèbāngwénlèi”.(樂邦文類) However, Seongsang did not recite the Amitabha Buddha or Pure Land Sutras. He conducted Sangyeong (transcribing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of “Avatamska Sutra” “Jeonghaengpun”(淨行品) as a writing in blood (血書), and printed and donated it, and externally, he has a strong Hwaeomhaengja character rather than the Pure Land Practice. However, based on the Sanfu (三福) of Pure Land Rebirth, which was preached by Seondo based on the authority of 'Amitayurdhyana Sutra', the significance of Jeonghaengsa is that it is a Pure Land Practice that practiced Happiness (行福) among Sanfu. Seongsang's Jeonghaengsa is referred to as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later literature, which suggest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forming Jeonghaengsa.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developed by Wanggo, the great‐grandson of Munjeonggong, who was the representative of Jeonghaengsa, as a practice that combines Chingmyeong- yeombul (Buddha and bodhisattvas name chanting) and life‐releasing. In addition, Wangchung also participated in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but there is no record of life‐releasing, and it differs from Wanggo's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that the number of “Amitâbha Sūtra” recitations and Chingmyeongyeombul is fixed. Meanwhile, a record of the West Lake Gyenyeomhoe Associ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reported in the West Lake region, and it the Pure Land Practice with the Buddha statue (佛像) as the object of Gyenyeom. ‘Gyenyeom’ means ‘concentrating one’s thoughts on one object’, and the reliable authority of sutras that Yukjun made the Buddha statue, that is, the Buddha as the object of Gyenyeom as the cause (因) of Pure Land Rebirth, can be found in 'Karunapundarika‐sutra' and 'Amitayurdhyana Sutra', etc. Suseonsa temple and Baekryeon association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Goryeo in the late 12th century, is almost contemporary with Jeongtogyeolsa in the West Lake region in Chin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of the association mov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era.
目次I. 들어가기 195
II. 정행사 195
1. 성상의 정행사 197

2. 화엄경의 정토사상과 정행사 200
3. 정행사의 정토사상적 의의 202
III. 정행사와 서호결사 204
1. 왕고의 서호결사 204
2. 왕충의 서호결사 209
IV. 육준과 서호계념회 210
V. 나가기 213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1..36.006
點閱次數75
建檔日期2023.03.22
更新日期2023.03.22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22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