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생전예수재의 삼단 설행과 『금강경』 독경=On Reading the Diamond Sutra and the Three Stages of Yesujae (預修齋)
作者 신규탁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34 n.0
出版日期2020.12
頁次433 - 46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關鍵詞Yesujae=預修齋=Rituals to be performed while living in order to be reborn in Buddha’s land; Yesujaesiwangsaengchilgyeong =『預修十王生七經』=The Sutra of the Rituals to Be Performed While Living=in Preparation for Judgment by the Ten Kings of Hell; The Ten Kings of Hell=冥府十王; Diamond Sutra =『金剛經』; Vasubandhu=世親; Zongmi=宗密; Chilchiljai=七七齋=the weekly memorial service for seven weeks
摘要최근, 한국에서 생전예수재에 관한 연구는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었다. 문헌적 측면, 음악적 측면, 무용적 측면, 무대설치의 측면, 그리고 민속적 측면이 바로 그런 연구 방면의 사례이다. 본 논문의 집필 의도는 이런 기존의 연구를 수용하면서, 불교의 재(齎) 의례 문헌자료에 들어 있는 불교의 수행적 측면을 복원하려는 것이다.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는 이 용어가 보여주듯이, 살아생전 당사자가 자신의 업장을 스스로 소멸시킨다는 뜻이다. 그 용어에는 ‘수행’의 의미가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실제의 진행도 그렇다. 수행의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축은 불・보살 내지는 지옥 재판관에게 공양을 올리는 것이다. 다른 한 축은 『금강경』을 독송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금강경』을 독송하는 이유는, 그 경에 담긴 내용대로 보살행을 실천하겠다는 자기 결심이다. 본 논문에서 나는 『금강경』 자체를 3단원으로 나누어서 독송할 것을 제안했고, 그 근거를 서술적으로 제시했는데, 그 과정에서 나는 인도의 세친과 중국의 종밀의 전통을 선택적으로 수용했다.

Recent studies on Yesujae in Korea presented various perspectives on it. For example, its philological, musical, performative, scenographical and folkloric aspects have been investigated. In line with these studies, this essay illuminates the essence of Buddhist practice reflected in the literature on Buddhist rituals. Yesujae (預修齋) literally means a ritual in one’s lifetime to dissolve one’s own karmic obstacles,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is implied. The process of the ritual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actice. The method of practice is basically two-fold. One is presenting an offering to the Buddha, Bodhisattvas or the Kings of Hell. The other is reading the Diamond Sutra. While reading the Diamond Sutra makes a resolution to fulfill the Bodhisattva-practice as illustrated in it. This essay suggests a way to read the Diamond Sutra in three parts. The grounds for this method of reading are partly based on the theoretical traditions of Vasubandhu (世親; 316-396) and Guifeng Zongmi (圭峰宗密; 780-841).
目次I. 서론: 의례 연구의 변 435

II. 재(齋)에 대한 이해의 지평 438
III. 예수재 의문의 구조 442
1. 의례문 대비를 통한 예수재 순서 이해 442
2. 예수재에 기댄 참법의 제안 446

IV. 참회법사에 활용할 금강경 분단(分段) 송경 시안 451
V. 부가적 검토; ‘시왕’의 유래 458
[부록] 1. <二十七疑脈絡圖> 463
2. <眞靈位業圖> 464
ISSN12291846 (P)
DOIhttp://doi.org/10.35299/jungto.2020..34.012
點閱次數79
建檔日期2023.03.23
更新日期2023.03.2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727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