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계사 생전예수재의 역사와 의의=Historicity and Significance of an Advance Funeral Ceremony in the Jogyesa Temple
作者 성청환 (著)=Sung, Chung-whan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3 n.0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생전예수재
出版日期2015.06
頁次129 - 166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연구교수
關鍵詞조계사 생전예수재=Jogyesa Temple; 생전예수재=Advance Funeral Ceremony in One's Lifetime=生前預修齋=shēngqián yù xiū zhāi; 조계사; 불교신문=Bulgyosinmun=Buddhist Newspaper; 불교의례; 종교문화; 사회문화;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Foshuo Yuxiu Shiwang Shengqi Jing=佛說豫修十王生七經
摘要불교의 다른 의례들이 죽은 자를 위한 것인 반면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는 살아있는 사람, 그 스스로를 위한 것이다. 생전예수재는 삶과 죽음을 이분법적 구분하지 않는 불교적 사유가 잘 드러나는 의례이다. 본 논문은 현대한국불교에서 광범위하게 실행되어지고 있는 생전예수재의 역사와 의미를 특징 사찰 조계사를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 기록과 변천의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예수재의 의미와 형식의 변천과정을 밝혀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시대에 조계사예수재의 의미를 되새겨 본다. 조계사라는 공간의 상징성은 종교가 갖는 ‘성스러움’의 중심성으로 표현되고, 그 속에서 생전예수재는 의례 참여자에게 단순한 믿음의 체계만이 아니라, 수행을 통한 개인의 참회와 정진이 집단적인 유대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심리적 공동체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자리이타의 불교적인 회향을 통해서 사회 공동체 형성의 토대가 된다. 즉 조계사의 생전예수재는 불교가 한국의 역사와 문화로서 보존되고 계승되어지는 진행의 과정에서, 근․현대에 불교의례의 중심의 한축이라고 할 수 있다. 1960년∼1974년의 기간 동안 확인 가능한 조계사 생전예수재는 우선 윤달을 맞이하여 거행하고 있으나, 그 기간이 일정하지 않다. 이시기의 조계사 예수재는 종단주도의 생전예수재이며,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행사였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종정스님과 총무원장스님 등을 비롯한 당대의 고승들이 참석하였다는 사실이다. 1976년∼2001년 기간 동안 조계사의 예수재는 다양성에서 점차적으로 정형화되는 체계를 갖춘다. 1982년을 전후로 윤달을 전후한 7.7의 49일로 정형화되어 반복되고 있다. 그리고 또 하나, 윤달을 전후로 한 삼사순례의 종교성지 순례가 예수재와 결합하여, 의례를 통한 종교의 공동체 경험의 기간을 연장하면서 예수재가 이렇게 불교의례로서 정형화되어 가고 있다. 2004년∼2014년 시기의 조계사 예수재는 사회적 회향과 신행의 예수재로 성격을 변화하고 있다. 참석자들의 적극적인 실천과 참여, 그리고 사회적 회향으로 변화된 생전예수재는 하나의 의례가 단순한 기복이 아닌 스스로를 위한 수행과 타인을 위한 나눔의 정신을 되살린 불교의례로 승화시키고 있다. 조계사의 생전예수재는 불교의 고유한 문화의식과 전통의례가 지닌 원형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그 바탕 위에서 시대와 사회에 맞게, ‘신앙에서 신행’으로 새로운 수행의례를 창출하여 종교적 문화의 유산이 지금 이 시대에서 통용되는 기능과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지닌다. 조계사의 예수재는 보편적인 불교 공통의 역사적 사실의 기억과 영향력을 보존하면서도 현대의 한국사회의 시대에 따른 예수재에 대한 공통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As the chief temple of the Jogye Order, the Jogyesa Temple has been a symbol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Established in 1910 as "Gakhwangsa" in 1910, renamed “Taegosa,” in 1937, and finally given its current name in 1955, the temple has come to represent a sacred space in the midst of the profane city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 funeral ceremony conducted at the Jogyesa temple, in advance of the subject’s death, in terms of its historicity and significance from 1960 to present. Translated as “advance funeral ceremony during one’s lifetime” (生前預修齋, shēngqián yù xiū zhāi), the ceremony is unique to Korean Buddhist rites as it is a funeral inclined toward the living subject, in contrast to other funeral ceremonies that are, of course, focused on mourning the deceased. As a temple on the forefront of Korean Buddhism, Jogyesa’s advance funeral ceremony during one’s lifetime has been so popular, and considered so suitably Buddhist, that it has changed rites across Korean Buddhism from the modern period onward. Based on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Buddhist newspaper Bulgyosinmun, the advance funeral ceremony in one’s lifetime in the Jogyesa temple has been categorized under three periods based upon its changing characteristics: 1960∼1974, 1976∼2001, and 2004∼2014. During first period the Jogye order is characterized as having played a leading role in performing the ceremony. During this time, the Supreme Patriarch and Presiden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participated in and performed a role in rites such as dharma talks.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Jogyesa temple formulated and standardized the rite in terms of its practical timing and its synchronization with ritual cycles. Since 2004 the advance funeral ceremony at the Jogyesa temple has changed direction and purpose dramatically. The rite is not merely a public religious ceremony but has also transformed into an act to be carried out by solitary Buddhists. In addition, during the ritual period of the advance funeral, Buddhists of the Jogyesa temple directly practice return of their profits to society as a form of communal reciprocity almsgiving.
目次I. 서론 132

II. 조계사의 상징성 : 성스러움의 공동체 134
III. 조계사 생전예수재의 역사적 변천과정 138
1. 1960년∼1974년 : 종단주도의 생전예수재 138

2. 1976년∼2001년 : 조계사 예수재의 정형화 144

3. 2004년∼2014년 : 사회적 회향과 신행의 예수재 149
IV. 조계사 생전예수재의 의미 155
1. 종교문화적 의미 155

2. 사회문화적 의미 157
V.결론:남겨진 과제들 159
ISSN12291846 (P)
點閱次數71
建檔日期2023.03.31
更新日期2023.03.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812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