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공명조(共命鳥)에 대한 관념의 기원과 변천=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of Ideas on Gongmyungjo(共命鳥)
作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3 n.0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생전예수재
出版日期2015.06
頁次291 - 317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關鍵詞공명조; 기바기바조; 가루빈가; 쌍두조=a bird with two heads; 극락정토; 구마라즙=Kumarajīva; 『잡보장경』; 실크로드; 『불본행집경』; 『아미타경』; jīvajīvaka; jīvaṃjīva; kalaviṅka; sukhāvatī; Silkroad; Sukhāvatīvyūha; Abhiniṣkramaṇasūtra; Saṃyuktaratnapiṭakasūtra
摘要공명조는 산스트리트어 jīvajīvaka를 번역한 새의 이름이다. 이 새는 히말라야 설산 지역에 서식하는 목소리가 아름다운 새로 알려져 있다. 『아미타경』을 비롯한 많은 불교경전에서는 극락정토에 있는 여러 가지 진귀한 새들의 이름을 나열할 때 공명조도 함께 언급된다. 공명조에 대해서는 또한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갖고 있다는 전설이 따른다. 『잡보장경』이나 『불본행집경』 속에 나타나는 본생담에서 공명조에 대한 설화를 찾아볼 수 있다. 공명조 설화는 인도의 서북부 지역에서 불교경전 속에 편입된 이후 경전의 번역과 석굴벽화의 조형을 매개로 하여 동아시아에 전파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공명조 설화는 실크로드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유포되었던 대표적인 불교설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극락이나 설산 기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새, 하지만 중국에는 살지 않는, 이 새에 대하여 중국인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공명조는 새의 몸에 인간의 머리를 하고 있는 가루빈가와 함께 소개되면서, 어느새 새의 머리가 아닌 인간의 얼굴을 한 형상으로 혼용되기 시작한다. 또한 세월이 지남에 따라 ‘가루빈가는 곧 공명조’라는 혼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인도나 서역에 존재하는 특이한 동식물이 중국에 전래되면서 생겨나는 문화적 변형의 한 가지 사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대에 저술된 『아미타경』의 주석 가운데에는 이러한 혼용은 잘못이며, 가루빈가와 공명조는 구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Gongmyungjo(共命鳥) and its story. Gongmyungjo is a translation of jīvajīvaka. It is known a mythological bird which lives in snow mountains of Himalayas. The bird is appeared in many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Sukhāvatīvyūha(阿彌陀經). It is a translated word of jīvajīvaka or jīvaṃjīva by Kumarajīva in 402. According to Sukhāvatīvyūha, jīvajīvaka lives in the Buddhist paradise, namely the land of happiness(sukhāvatī, 極樂淨土), together with swans, peacocks, parrots, shrikes and kalaviṅka. This bird is also characteriz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by the appearance with two heads. We can find the jīvajīvaka story in Saṃyuktaratnapiṭakasūtra(雜寶藏經) and Abhiniṣkramaṇasūtra(佛本行集經). It seems that the story of jīvajīvaka was transferred into the Buddhist scriptures in the area of northwest India. Through the translation of scriptures and the moulding of cave paintings, the ideas on jīvajīvaka was spread around the Silkroad. It can be said that the story of jīvajīvak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tales. Well, how did the Chinese understand the jīvajīvaka, a bird does not live in China? The mythological bird jīvajīvaka was introduced together with kalaviṅka. Kalaviṅka is an imaginary animal, its upper is a human and the rest is a bird. Jīvajīvaka and kalaviṅka are mentioned together in the names of rare birds live in sukhāvatī. And in many Buddhist paintings they are classified into one group, dancing around the Buddha and flying in the sky. They were accepted with a pair in China, so jīvajīvaka became to understand with two heads of human, not bird. In accordance with the years went by, it was confused that kalaviṅka is jīvajīvaka. This is a case of cultural transformation, when the rare animals or plants was introduced into another country. It shows one case of many confusions and misunderstandings in China, when accept the unfamiliar things from India and the west areas. In the commentaries of Sukhāvatīvyūha, we can find the statements that kalaviṅka is not jīvajīvaka, and this confusion is a mistake.
目次I. 서론 293

II. 공명조의 기원 295

III. 공명조 설화의 탄생 300
IV. 혼용의 사례들 307

V. 결론 312
ISSN12291846 (P)
點閱次數66
建檔日期2023.03.31
更新日期2023.03.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813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