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불교 효사상의 본질=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
|
|
|
作者 |
양은용 (著)=Yang, Eun-yong (au.)
|
出處題名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
卷期 | v.22 n.0 조상신앙 |
出版日期 | 2014.12 |
頁次 | 113 - 137 |
出版者 | 韓國淨土協會 |
出版者網址 |
http://www.jungtohak.or.kr/
|
出版地 | Seoul, Korea [首爾, 韓國] |
資料類型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使用語言 | 韓文=Korean |
附註項 | 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원장. |
關鍵詞 | 불교의 효; 보은사상; 부모은중경; 우란분경=Uranbungyeong; 위경; 효경; 충효윤리; 목련구모; 유교; 도교; Filial Piety Sutra; Filial Piety Ethics; the Buddhist Filial Piety; Kindness Ideology;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pocryphal Sutra |
摘要 | 석존의 정각에 의한 불교의 세계종교화는 이문화(異문화)사회에의 토착을 의미한다.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가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을 중심한 『부모은중경』의 성립이다. 이 경전은 불교의 동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위경(僞經)이지만, 현장성을 중심으로 보면 역동성을 상징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부모은중경』과 『우란분경』을 중심으로 불교 효사상, 즉 부보은사상의 본질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충효윤리를 중심한 중국사회에 출가윤리가 중심인 불교의 전래는 커다란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유교에서는 불교를 「무부무군(無父無君의 호교(胡敎)」로 핍칭 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부모은사상이 발아되었고, 그 정점에 『부모은중경』의 성립을 보게 된다. 유교의 효는 부모의 봉양에서부터 임금을 섬기고 마침내 자신을 올바로 간수하며, 선인의 유지를 받드는 등의 단계가 있다. 그러나 그 가르침 자체가 현세 위주이다. 이에 대하여 불교의 효사상, 즉 부모은사상은 연기이법에 바탕하여, 한편에서는 삼세부모사상으로 전개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봉양은 물론 이고득락(離苦得樂)하는 천도(薦度)를 본질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효사상 전개는 동토에 있어서 효사상의 새로운 차원을 열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도 『부모은중경』을 성립시킨 역동성, 곧 현장성은 인류의 커다란 복전이 될 것으로 본다.
Buddhism to a global religion by Buddha's enlightenment means the naturalization in different culture societi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establishment of the filial piety, that is,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ith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This sutra is an apocryphal sutra writte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Buddhism to East though, it symbols dynamism from the outlook of present sense. In this dissertation, it is the purpose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focusing on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and Uranbungyeong. The import of Buddhism with Leaving home ethics gave a big cultural impact to Chinese society which considered Filial Piety Ethics as a significant factor. In Confucianism, Buddhism was called, 'barbaric religion without parents', in the process overcoming this negative flow,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was germinated, an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was established at the height of this phenomenon.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has some steps of, serving from parents to King, in the end, taking care of oneself, and honoring ancestors' wishes etc. But its teaching itself is mainly with the present world. About this, the Buddhist Filial Piety, that is, the parent's kindness ideology is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on the one hand, it developed to parents' ideology of the three worlds, on the other hand, it considers Cheondo(薦度), the way to heaven, which leaves suffering and gains pleasure including serving parents, as the essence. Among them, there contains ethics of the mundane world. Therefore, it was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filial piety opening a new dimension of filial piety ideology in the eastern land. In a contemporary society, I think the dynamism which established the Sutra manifesting parent's kindness, that is, the present sense can be a big fortune farm of mankind.
|
目次 | I. 서언 115
II. 불교의 동전과 부모은중경의 성립 118 1. 부모은중경의 성립 118 2. 부모은중경의 피은과 보은 120 III. 우란분경류의 목련구모와 효사상 125 1. 우란분경과 목련구모 125 2. 불교 효사상의 핵심 129 IV. 결어 131 |
ISSN | 12291846 (P) |
點閱次數 | 77 |
建檔日期 | 2023.03.31 |
更新日期 | 2023.03.31 |
|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