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일요법회 의례 한글화 시론=Suggestion for Using Korean (Hangeul) in the Rituals of Sunday Buddhist Ceremony
作者 신규탁 (著)=Shin, Gyoo-tag (au.)
出處題名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卷期v.21 n.0
出版日期2014.06
頁次147 - 193
出版者韓國淨土協會
出版者網址 http://www.jungtoh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연세대 철학과 교수. 중국 화엄사상 및 선불교 전공
關鍵詞일요 법회=Sunday Buddhist ceremony; 불공=Offering to Buddha; 설법=Buddhist Preaching; 대한불교조계종=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법요집=Buddhist service booklet; 『천수경』=The Thousand Hand Sutra=『千手經』
摘要종교에 있어서 의례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불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국 불교의 역사 속에서 승려들은 이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의례를 정비했고, 그것이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그런데 한문으로 각종 문서를 작성하던 시대가 끝나고, 한글 시대가 시작되면서 한국 불교계의 의례는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첫째로, 의례와 음악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한문을 한글로 번역하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다. 그렇다고 전통을 무시하고 새롭게 한글로 의례문을 제작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둘째로, 전통적인 의례에는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 의례가 매우 세련되게 정비되어 있지만, 신도 대중들을 위한 ‘설법’ 의례는 정비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신도 대중을 위한 ‘설법’도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을 고려하면서 한글 시대에 부합하는 의례의 제작을 실험적으로 시도했다. 그리하여 ‘공양’과 ‘법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의례를 모색했다. 필자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삼보통청(三寶通請)’을 기본으로 삼고, ‘설법’의 의례를 거기에 첨가하여, 이 모두를 한글화로 구축해보았다.

The importance of rituals is tremendous in religion, and Buddhism is no excep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uddhist monks who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rituals have adjusted and maintained formalities of Buddhist rituals, which have been maintained up to this day. However, as Hangul has become the common orthography departing from the old custom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documents, Korean Buddhism has confronted various problems in its rituals. First of all, since rituals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simply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cannot solve the problem. Still, composing new ritual phrases in Korean while discarding the tradition cannot offer a solution either. Secondly, in traditional ceremonies, the ritual of “Offering to Buddha” is carefully organized whereas the practice of “Buddhist Preaching” for the public was not considered a part of the ceremony. Yet, in the Buddhist culture of today’s society, the necessity for “Buddhist Preaching” to the public has arisen. In this essay, I attempt to suggest reforms and rearrangements in rituals that can accord with the needs of this era of Hangul more effectively, while still respecting tradition – a ritual in which both “Offering to Buddha” and “Buddhist Preaching” can be served. Adopting the “Calling on the Three Treasures,” Sambotongcheong” as the basis of the service, the ritual of “Buddhist Preaching” is added, all translated and revised in Korean.
目次I. 일요법회 정착의 희망 149

II. 대한불교조계종에서 만든 의례집의 빛과 그림자 152
III.옛 것을 본받아 새 것을 만듦 155
IV.일요법회 법요 의례 시안 157

V. 맺음말 188
ISSN12291846 (P)
點閱次數40
建檔日期2023.04.17
更新日期2023.04.1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6898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