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대만불교 정화과정 연구=Study on the Process of Buddhist Purification in Taiwan
作者 김응철 (著)=Kim, Eung-chual (au.)
出處題名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卷期v.35 n.0 근대 동아시아 불교의 변화
出版日期2021.06
頁次45 - 71
出版者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出版者網址 http://www.taegak.or.kr/
出版地Seoul, Korea [首爾,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교수.
關鍵詞대만불교=Taiwan Buddhism; 불교정화=Buddhism Purification; 일본불교=Japanese Buddhism; 대처식육=Married and Meat Eater; 대처승=Married monks; 계율 정화=Precepts Purification
摘要본 고찰은 대만불교의 정화과정 및 성격을 정리한 글이다. 대만불교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만불교에 관심을 갖는 흐름이 일어났다. 이런 배경에서 대만불교의 역사, 정체성, 발전의 요인, 인물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필자는 이 글에서 대만불교의 정화 정체성에 대한 내용을 살피려고 한다. 필자는 대만불교의 발전 요인을 사회복지 차원에서 주목한 바가 있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대만불교 정화의 특징을 몇 가지로 나누어 살핀다. 첫째, 계율 중심의 정화라는 측면이다. 둘째, 제도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이다. 셋째, 정화로 인해 사찰과 승려의 위상이 증대된 측면이다. 넷째, 정화로 인해 포교방법이 촉진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가 대만불교의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서 이 고찰은 한국의 불교정화운동, 조계종단, 한국 현대사 등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view is a summary of the process and character of Taiwan Buddhism. Taiwanese Buddhism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Korea, bu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rend of interest in Taiwanese Buddhism. In this backgrou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history, identity, factors of development, and people of Taiwan Buddhism. Against this background, I inten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purifying identity of Taiwan Buddhism in this article.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factors of Taiwan Buddhism in terms of social welfare. However,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ification of Taiwanese Buddhism by dividing it into a few. First, the aspect of purification centered on precepts. Second, it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Third, the status of temples and monks has increased due to purification. Fourth, the method of propagation was promoted by purification.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aiwan Buddhism. Furthermore, this review can be a perspective that allows a new understanding of the Korean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he Jogye Order, and modern Korean history.
目次I. 서언 47

II. 일본의 대만 점령과 식민통치 49
III. 대만불교의 전파 과정과 제 종파 53
IV. 대만불교의 정화 과정 61

V. 결어 67
ISSN12291080 (P)
點閱次數53
建檔日期2023.05.28
更新日期2023.05.2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173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