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중국불교에서 바라본 공과 중도 - 삼론종과 선종을 중심으로=A Study on Emptiness and Middle Way in Chinese Buddhism: Focused on Sanlun Zong and Chan Zong
作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40 n.0
出版日期2019.12
頁次245 - 273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 철학과 강사
關鍵詞부정의 정신; 백비=one hundred negations=百非; 중도의 구체화; 일상의 언어=ordinary language; 무문관=Wumen guan=Gateless Barrier; 이제합명중도=to explain middle way through twofold truth=二諦合明中道; 4중이제=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to concretize middle way
摘要이 논문에서는 중국불교 가운데 삼론종과 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관점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삼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이해에 대해 알아본다. 삼론종에서는 ‘4중이제’를 말하는데, 이는 속제와 진제를 네 번 전개하는 것이다. 이처럼 속제와 진제를 네 번 전개하는 것은 삼론종의 특징이고, 이는 이미 선행연구에서 밝힌 것이다. 또 삼론종에서는 ‘이제합명중도’를 주장한다. 이는 속제와 진제를 각각 중도의 의미로 파악하고 결합하는 것인데, 이것도 삼론종의 특징에 속한다. 그리고 삼론종에서는 이것에 3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첫째 잘못된 집착을 깨뜨리는 것이고, 둘째 그릇된 이해를 바로잡고 중도의 올바른 이해를 세우는 것이며, 셋째 현상계의 존재방식을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주장은 중도의 의미를 3가지로 자세히 구분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3장에서는 선종의 공과 중도에 대한 관점을 검토한다. 선종에서는 공과 중도에 대해 일상의 언어로 설명한다. 『무문관』 제14칙‘남전화상이 고양이를 베다’ 등에서 공의 정신이 일상의 이야기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이것이 선종에서 공사상을 표현하는 특징이다. 또 선종에서 중도를 표현할 때도 일상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 예로 『무문관』43칙 ‘수산의 죽비’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는 ‘중도의 구체화’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물론 선종에서 중도를 말할 때에 일상의 언어를 통한 ‘중도의 구체화’만을 말한 것은 아니고, 인도의 중도사상을 그대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선종의 중도이해 특징은 ‘중도의 구체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선종에서는 ‘백비’를 통해서 끊임없는 부정의 정신을 보여주는데, 이는 앞에 소개한 삼론종의 ‘4중이제’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emptiness(sunyata) and middle way(madhyama pratipad) in Sanlun zong(three treatise school) and Chan zong(meditation school). In chapter two, I study emptiness and middle way in Sanlun zong. 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which unfold the conventional truth(俗諦) and absolute truth(眞諦) four times, is the characteristic of Sanlun zong. And to explain middle way through twofold truth (二諦合明中道) is also the characteristic of Sanlun zong, which divide meaning of middle way into three kinds, that is, first to destroy a false attachment, second to correct a false understanding and to establish a right understanding, third to explain existing way of the phenomenal world. In chapter three, I study emptiness and middle way in Chan zong focusing Wumen guan(Gateless Barrier). To explain emptiness in ordinary language i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 Also to explain middle way in ordinary language i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 which is to concretize middle way. Though Chan zong explains Indian buddhism's middle way in some cases, the characteristic of Chan zong's middle way is to concretize middle way. And Chan zong expresses the spirit of negation through one hundred negations(百非), which shares the context with four grave twofold truth(四重二諦) of Sanlun zong.
目次Ⅰ. 서론 246

Ⅱ. 삼론종의 공과 중도 이해 249

Ⅲ. 선종의 공과 중도 이해 256

Ⅳ. 결론 267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40.09
點閱次數54
建檔日期2023.06.24
更新日期2023.06.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78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