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Assagioli의 정신통합=A Study of Assagioli’s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Practices
作者 박성현 (著)=Park, Sung-Hyun (au.) ; 민희정 (著)=Min, Hee-jung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39 n.0
出版日期2019.09
頁次381 - 39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박성현: 주저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조교수

민희정: 교신저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교수
關鍵詞동일시; 정신통합; 아싸지올리; 명상= meditation; 선=Seon practice; psychosynthesis; identification theory; Assagioli’s theory
摘要본 논문은 서구 자아초월심리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아싸지올리의 정신통합을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정신통합은 서구 정신분석 전통과 동양 신비주의 전통의 정신 모델을 통합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아싸지올리는 전통적인 정신분석 전통으로부터 하위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동양의 요가 전통으로부터 상위 무의식과 초월적 자기의 관념을 끌어들였다. 정신통합 모델에서는 동일시-탈동일시-동일시의 역동적 과정을 통해 경험에 지배당하고 있는 동일시된 자기로부터 경험을 초월한 초월적 자기로의 성장을 도모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신통합이 제시하고 있는 여러 개념 중 특히, 동일시-탈동일시의 과정, 초월적 자기, 그리고 상위무의식을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비교 고찰한다. 동일시-탈동일시 과정은 불교의 사띠 및 선 수행과 비교했으며, 초월적 자기는 존재의 무근거성의 자각이라는 불교수행의 관점에서, 그리고 상위무의식은 지혜와 자비라는 본성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조명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Assagioli’s psychosynthesis theory from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practices. The psychosynthesis theory is derived from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it represents a trial to integrate Western psychoanalytic theory with Eastern philosophies. Assagioli combined the concepts of the lower unconsciousnes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from traditional psychoanalytic theory with the concepts of the higher unconsciousness and the transpersonal self from Eastern yoga traditions. The psychosynthesis model demonstrates that self can grow as transpersonal self by transcending the identified self that is dominated by the experiences of the dynamics of the identification-disidentification process. This study particularly indic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ssagioli’s psychosynthesis theory and the perspectives of Buddhist practices with respect to the identification- disidentification process, transpersonal self, and higher unconsciousness. We compared the identification-disidentification process to Buddhist Sati and Seon practices and reviewed the transpersonal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nonbeing. Finally, we critically explored the higher un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ise and compassionate mind in the Buddhist traditions.
目次Ⅰ. 서론 382

Ⅱ. Assagioli의 정신통합 모델 형성 배경 383

Ⅲ.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Assagioli의 동일시-탈동일시 386

Ⅳ.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Assagioli의 초월적 자기 390

Ⅴ. 불교 수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Assagioli의 상위 무의식 394

Ⅵ. 결론 397
ISSN27140938 (P); 27140946 (E)
DOI 10.21718/EABC.2019.39.15
點閱次數72
建檔日期2023.06.25
更新日期2023.06.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3812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