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득의 관점에서 바라본 설일체유부의 아라한 퇴보설=On the Sarvastivadin Theory of the Arhat`s Reg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cquisition (prapti)
作者 김한상 (著)=Kim, Han-sang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7 n.0
出版日期2016.09
頁次175 - 196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외래강사.
關鍵詞퇴보=parihāṇi; 여섯 종류의 아라한; 시해탈=時解脫=samaya-vimukti; 비시해탈=非時解脫=samaya-vimukti; 득=得=prāpti; 번뇌의 상속;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Sarvāstivāda
摘要본 논문은 비바사(毘婆娑, Vaibhasika)라고도 불리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Sarvastivada)가 마하데와(Mahadeva)의 다섯 가지 사항들(五事, pancavastu)을 이단설로 배척하면서도 아라한이 정신적으로 퇴보(parihani)할 수 있음을 동시에 주장한 저의를 탐구한다. 설일체유부는 아라한도 퇴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초기 불교의 시해탈(時解脫, samaya-vimukti)을 ‘아라한의 일시적 해탈’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법의 수준이나 종성(種姓, gotra)에 따라서 아라한을 여섯 종류로 세분하였다. 여섯 아라한들은 퇴법(退法, parihana-dharman)과 불퇴법(不退法, aparihana-dharman)의 두 범주로 크게 나뉜다. 이러한 해석은 득(得, prapti)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만 한다. 득은 개별적인 법들을 개인의 삶의 연속(santana)에 부착하여 존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cittaviprayukta-samskara-dharma)의 하나이다. 그리고 그 자체로 개별적 실체(dravyantara)이자 고유의 법(dravyadharma)이다. 그러므로 설령 아라한에게 번뇌(煩惱, klesa)가 모두 제거되었더라도 그 실체는 없어지지 않는다. 어떠한 상황에서는 과거의 번뇌가 현재의 또 다른 번뇌가 일어나는 원인이 되며, 이 때문에 아라한이 퇴보한다. 이러한 생각은 설일체유부의 핵심 교의인 삼세실유(三世實有, sarvakalastita)와 법체항유(法體恒有, svabhavah sarvada casti)와 연결된다. 그래서 설일체유부의 아라한 퇴보설은 초기 불교에서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던 아라한의 위상을 폄하하려는 목적과는 무관하며, 인간의 경험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간의 경험적 연결이나 통일성을 해명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극히 사변적이고 현학적인 이론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why the Sarvativains, otherwise called Vaibhasikas, asserte the possibility of spiritual retrogression even though they dispute Mahadeva`s five propositions (panca-vastu) as a heretical view. The Sarvastivadins interpretate the term samaya-vimukti as ‘arhats`s temporal deliverance’, for they think this term is evidence for their doctrine that even arhats have the possibility of retrogression. Accordingly, they distinguish the arhat into six varieties by their dharma level or linage (gotra). These six kinds of arhat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se susceptible to retrogression (parihana-dharman) and those not susceptible to retrogression (aparihana-dharman). This interpretation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quisition (prapti). It is the conditioned force (cittaviprayukta-samskara-dharma) that attaches independent dharmas to the life continuum (santana) of the individual, thus helping to maintain the semblance of the continuity of the person. On the part of the Sarvastivadins, the acquisition itself is a particular entity (dravyantara) or substantial dharma (dravya-dharma). Therefore, even if the defilements (klesa) are destroyed from the arhat, the substantiality of the defilements or dharmas is never annihil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that past defilement may serve as the cause for the arising of another present defilement, causing the arhat to retrogress. This thought is also related to their fundamental theory of all exist in three period of time (Sarvakalastita·Svabhavah sarvada casti). In this regards, we can safely conclude that the Sarvastivadin theory of the arhat`s regression is not aimed at dislodging the arhat from the privileged position which had been acknowledged from the beginning, but a scholastic and speculative conclusion responding to the problem of accounting for the experienced connection or coherence among all factors constituting the experience of one sentient being, or, in Buddhist terminology, within one life-stream (samtana).
目次I. 머리말 176

II. 시해탈과 비시해탈 179
III. 여섯종류의아라한 183
IV.득과 번뇌의 상속 186
V. 맺음말 190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140
建檔日期2023.07.24
更新日期2023.07.2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25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