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T85, No.2799 『십지론의소(十地論義疏)』의 텍스트 문제에 대한 고찰=An Examination of the text of the Shidilunyishu in T85 No.2799
作者 김천학 (著)=Kim, Cheon-hak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6 n.0
出版日期2016.06
頁次3 - 31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關鍵詞법상=Fashang=法上; 혜원; 돈황사본=Dunhuang script; 텍스트크리틱; 십지론의소=Shidilunyishu=十地論義疏; Shidijinglun; the School of the Dilun
摘要대정신수대장경 제85권에 수록된 법상(法上) 찬술 『십지론의소』는 지론종 초기문헌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문헌에 대해서는 그동안 두 가지 문 제가 제기되었다. 첫째는 저자의 문제이다. 즉 법상이 정말 저자인가 하는 문 제이다. 둘째, 1권과 3권이 정말 같은 법상의 문헌인가 하는 문제이다. 첫째 문제는 저자명이 있는 부분의 글자가 흔적을 잘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둘 째 문제는 권1과 권3을 동일문헌으로 본 명확한 기준이 없었기 때문이다. 필 자는 여기에 돈황사본과 대정신수대장경 수록본의 텍스트 문제를 하나 더 제기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저자문제에 대해서는 통례에 따라서 법상 저술임을 전 제하고, 둘째와 셋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문제는 권1과 권3의 식설 과 용어 내지는 어법의 동이를 들어 증명할 것이고, 셋째 문제는 텍스트크리 틱을 통해 원래의 글자를 찾아낼 것이다. 왜냐하면 돈황사본과 대정신수대 대정신수대장경 제85권에 수록된 법상(法上) 찬술 『십지론의소』는 지론종 초기문헌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문헌에 대해서는 그동안 두 가지 문 제가 제기되었다. 첫째는 저자의 문제이다. 즉 법상이 정말 저자인가 하는 문 제이다. 둘째, 1권과 3권이 정말 같은 법상의 문헌인가 하는 문제이다. 첫째 문제는 저자명이 있는 부분의 글자가 흔적을 잘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둘 째 문제는 권1과 권3을 동일문헌으로 본 명확한 기준이 없었기 때문이다. 필 자는 여기에 돈황사본과 대정신수대장경 수록본의 텍스트 문제를 하나 더 제기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저자문제에 대해서는 통례에 따라서 법상 저술임을 전 제하고, 둘째와 셋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문제는 권1과 권3의 식설 과 용어 내지는 어법의 동이를 들어 증명할 것이고, 셋째 문제는 텍스트크리 틱을 통해 원래의 글자를 찾아낼 것이다. 왜냐하면 돈황사본과 대정신수대장경수록본 텍스트를 비교 한 결과 200여 곳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선, 둘째 문제는 결론적으로 동일문헌이라는 것을 증명할 것이다. 그것 은 권1과 권3 자체의 용법과 법상의 제자인 혜원이 권1과 권3의 용법과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을 통해 방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의 문제에 대해서는 텍스트가 변형된 유형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T85 『의소』와 돈황사본에는 동일하지만 의미상 명백히 잘못 필사되었거나, 연자, 탈락이 확인된다. ② 비슷한 글자여서 잘 못 읽은 경우이다. ③ 돈황사본의 보입, 삭제, 글자 바꿈 기호를 잘 못 읽거나 빠뜨린 경우이다. ④ 『십지론의소』에 근거하여 고친 부분이다. ⑤ 의미가 통하도록 임의로 글자를 바꾸거나, 첨가 내지 삭제한 경우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향후 본 텍스트가 정확히 활용되어 지론종 초기 사 상을 정확히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85th volume (expressed as “T85” in the following), there is a work titled as “Shidilunyishu”(十地論義疏) by Fashang(法上). This work leaves no trace of being quoted in China, Korea, and even in Japan. This work, however, has its doctrinal value in its becoming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thought of the School of the Dilun (地論) as the first commentary of the Shidijinglun(十地經論) in its chronological status. This article,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positively the thought and value of this work, is attempted with the problematic that the text of the Shidilunyishu(十地論義疏) requires to be examined carefully. Roughly, two questions can be raised about the Shidilunyishu. First, there is a question about whether its first volume and third volume were written by the same author. Second, there is a question about whether they were composed by Fashang. On these two questions, it is not easy to draw any conclusion. Without regard to what conclusions might be drawn on these two questions,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its being one of the early texts of the School of the Dilun. Before drawing a conclusion on the two questions, this article focused on questioning the accuracy of the text itself since it should be examined for the text to be utilized in any way.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of the text will be might be summarized in some corrections. ① There are cases in which T85 No.2799 misread the original test due to similarity of characters ② There are cases in which T85 No.2799 misread or omitted the symbols for supplementation, remova. or interchange of the Dunhuang script ③ There are cases in which T85 No.2799 corrected the orignal test according to the Shidijinglun(十地經論) ④ There are cases in which T85 No.2799 changged, supplemented or removed characters in order to make the text more understandable. The importance of verifying original texts has been explained above. A more complete recension of this text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discover the meanings of the original text in the future.
目次I. 문제의 소재 4

II. T85, No.2799와 돈황사본의 상위에 대해서 6
III. 『의소』 권1과 권3의 관련 19

IV. 결론 27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85
建檔日期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267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