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가락국(駕洛國)의 불교(佛敎) 전래(傳來) 문제와 성격에 대한 검토=An Investigation of the Debates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and Its Traits
作者 석길암 (著)=Seok, Gil-am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5 n.0
出版日期2016.03
頁次129 - 149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불교학부 조교수
關鍵詞가야불교=Gaya Buddhism; 가락불교=Garak Buddhism; 가락국=Kingdom of Garakguk=駕洛國; the overseas trade in East Asia=동아시아 해상교역; 아유타=Ayodhya; 불교수용=the acceptance of Buddhism
摘要본 논문은 『삼국유사』『가락국기』조와 『파사석탑』조를 중심으로 가락국의 불교 전래와 성격을 둘러싼 일연(一然)의 인식과 현대 역사학자들의 논의를 검토한 것이다. 이 기록들을 채록하고 있는 일연 자신은 허왕후의 도래와 함께 불교가 전해졌지만, 수용되지는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가락 불교의 수용은 왕후사의 창건을 기점으로 한다고 파악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학계에서의 최근 논의는 허왕후 도래시에는 불교가 전해지지 않았으며 왕후사 창건을 전후하여 불교가 가락국에 전래되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와, 『가락국기』의 건국신화 성립에 신라 중대 의 정치세력 및 이후의 불교적 색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삼국유사』에 나타난 가락국의 불교 수용 기사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의 둘로 나뉘어져 있다. 논자는 가락국의 불교 전파 시기는 왕후사 창건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4세기 말 무렵까지 가락국이 동아시아의 해상 교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는 점 때문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도 공인 연도만 372년과 384년일 뿐이며 공인을 위한 인지과정을 포함한다면, 불교의 전파 자체는 3~4세기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특히 허왕후로 상징되는 도래세력과 아유타의 연결을 굳이 불교를 매개로 한 각색일 것이라는 기존 역사학계 일부의 시각을 지양한다면, 다양한 문화교류의 측면을 고려해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1세기 전중반에 이미 중국, 한반도 북방 및 일본을 연결하는해상 교역망에 김해 가락국 지역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가락국기』의 불교 전래 기사 해석에 굳이 부정적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purports to investigate the Master Ilyeon’s recognition and modern historians’ debates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and its traits in reference to the articles of the Kingdom of Garakguk and the Stone Stupa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 Master Ilyeon (一然, 1206~1289), the Author of the Samguk Yusa, is regarded to have recognized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through the coming of Queen Heo (許王后, 33-189), while distinguishing it from the acceptance of Buddhism that is supposed by him to have begu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王后寺). On the other hand, recent debates on this issue are divided into two positions, the one arguing that the coming of Queen Heo did not accompany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which is supposed to have begun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and the other arguing that the articles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Samguk Yusa should not be trusted due to the anachronistically strong reflection of political powers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dynasty and subsequent traits of Buddhism in the composition of the foundation myth of the Kingdom of Garakguk. Above all, however, the date of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of Garakguk should be traced back to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le Wanghusa, since the Kingdom was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overseas trade in East Asia by the end of the 4th century. Even in the cases of Goguryeo and Baekje, only the years of official recognition are recorded as 372 and 384, while the actual transmission of Buddhism should be regarded to have occurred around the 3rd or the 4th century in consideration of the acquainting process before its official recognition. Especially, precluding some previous historians’ suspicio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rival of foreign powers symbolized by Queen Heo and the Kingdom of Ayodhya might be a creation by the medium of Buddhism, the diverse aspects of cultural exchange should be considered fully. In shor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area of the Kingdom of Garakguk around Kimhae was participating vivaciously in the overseas trade network that had included China, the northern parts of Korea, and Japan alread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1st century, the article of the Kingdom of Garakguk o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should not be interpreted negatively.
目次1. 들어가는 말 130

2. 『삼국유사』 「가락국기」조와 「금관성파사석탑」조의 불교전래 관련 기사와 일연의 인식 132

3. 가락국의 불교 전래 문제에 대한 기존 연구의 양상과 간과된 문제들 136
4. 전래된 불교의 성격 143
5.맺는말 14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102
建檔日期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43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