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현공 윤주일의 정토관과 염불관=A Study on Hyeongong Yun Ju Il`s Veiwpoint of Pure Land and Mindfulness of the Buddha
作者 이병욱 (著)=Lee, Byung-wook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24 n.0
出版日期2015.12
頁次341 - 367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고려대, 중앙승가대
關鍵詞4종류의 법문=four darma talks; 유심정토설=唯心淨土說=mind only pure land;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other place pure land; ten kinds great vow of Samantabhadra Bodhisattva=보(普)의 10가지 의미; 보현보살의 10가지 큰 원=ten kinds of meaning of pu(普)
摘要이 글은 현공 윤주일의 정토관과 염불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그의 정토관과 염불관을 살펴보기 전에 우선 2장에서는 그의 사상적 토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다. 현공 윤주일은 4종류의 법문과 4승을 제시한다. 4종류의 법문은 교문(敎門), 선문(禪門), 염불문(念佛門), 총지문(摠持門)을 말하는 것이다. ‘교문’은 경전을 배우는 것이고, ‘선문’은 간화선을 말하는 것이며, ‘염불문’은 부처나 보살의 명호를 입으로 염송하고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고, ‘총지문’은 다라니를 염송하는 것이다. 4승은 성문(聲聞), 연각(緣覺), 대승(大乘), 일승(一乘)이다. 현공 윤주일의 정토관과 염불관은 4승 가운데 일승에서 이끌어져 나온 것이다. 3장에서는 현공 윤주일의 정토관과 염불관에 대해 살펴본다. 그의 정토관은 유심정토설(唯心淨土說)을 주장하면서도 타방정토설(他方淨土說)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는 영명연수(永明延壽)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것으로 보인다. 또 그의 염불관은 아미타불을 염송하는 것에서 보현보살의 10가지 큰 원과 관세음보살을 염송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이는 그의 4종류 법문 가운데 하나인 염불문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염불문을 부처나 보살의 명호 가운데 하나를 택해서 염송하는 것이라고 했기 때문이며, 그래서 염불의 범위가 보현보살의 10가지 큰 원과 관세음보살을 염송하는 것으로 자연히 넓어진 것이다. 그런데 ‘보현보살’과 ‘관세음보살’은 서로 연결되는 점이 있다. ‘보현보살’에서 ‘보(普)’는 공덕이 두루한 것이고, ‘현(賢)’은 공덕을 베풀 때에 방편을 활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것은 공덕을 갖춘 ‘관세음보살’이 두루활동하는 것과 같은 내용이다. 그래서 현공 윤주일은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에서 ‘보(普)’의 10가지 의미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I will study Hyeongong Yun Ju Il``s veiwpoint of pure land and mindfulness of the buddha. In 2 chapter, before to study his veiwpoint, I study his foudation of thought. He presents four darma talks and four vehicles. Four darma talks are the gate of the buddha``s teachings, the gate of meditation, the gate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and the gate of dharani. The gate of the buddha``s teachings is to learn the scripture, the gate of meditation is ganhwaseon(phrase-observing meditation), the gate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is to chant and memorize the name of buddha and bodhisattva, the gate of dharani is to chant dharani. Four vehicles are sravaka, pratyaya buddha, mahayana(great vehicle), and ekayana(one vehicle). His veiwpoint of pure land and mindfulness of the buddha is derived from ekayana(one vehicle) of four vehicles. In 3 chapter, I study his veiwpoint of pure land and mindfulness of the buddha. His veiwpoint of pure land is to insist mind only pure land and to accept other place pure land. This is influenced by the thought of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His veiwpoint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is to be expanded to chanting Amitabha Buddha into chanting ten kinds great vow of Samantabhadra Bodhisattva and Avalokittsvara Bodhisattva. This is derived from the gate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of four darma talks naturally. Because the gate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is to select and chant one of the name of buddha and bodhisattva. So the realm of mindfulness of the buddha is expanded to chant ten kinds great vow of Samantabhadra Bodhisattva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naturally.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have common point. Pu(普) of Samantabhadra Bodhisattva(普賢菩薩) is that the merits(punya) are spreaded widely, Xian(賢) of Samantabhadra Bodhisattva(普賢菩薩) is to use skillful means when to give the merits(punya). This is the same 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to have the merits(punya) acts widely. So he presents ten kinds of meaning of pu(普) in Guan shi yin pu sa pu men pin(觀世音菩薩普門品).
目次1. 서론 342
2. 현공 윤주일 사상의 토대: 4종류 법문과 4승 344
3. 현공 윤주일의 정토관과 염불관 347
4. 결론 361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33
建檔日期2023.07.25
更新日期2023.07.2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745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