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守溫跋文; 僧家禮儀文; 寺刹契; 儀式典籍; 佛敎儀式=Buddhist ritual; Documents of the Ritual Kinds; temples credit union; Kimsuon’s epilogue; Seunggayeuimun
摘要
해인사는 三寶寺刹 중 法寶寺刹로서 칭해진다. 法寶로서 81,370매의 再雕大藏經 經板과 4,944매의 補板 및 雜板이 藏經版殿에 봉안되어 있으며, 國板殿과 觀音殿에 5,766매, 그리고 白蓮庵에 52板 등 총 92,132매의 經板이 봉안되어 있는 까닭이다. 해인사에는 다수의 古文獻 또한 소장되어 있는 바, 2013년부터 1년간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구축 사업」 일환으로 해인사 소장 문헌을 조사한 바 있다. 그 결과 해인사에는 古書 235종 737책, 古文書 10종 10점, 다라니 2종 10점(668매) 등 총 247종 757점이 소장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30종류 46책의 儀式類 전적이 포함된 바, 필자는 이 儀式類 전적을 대상으로 의식 유형의 구분 및 각 책의 내용, 書誌的 중요성 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 소장 의식집 중에서 順治13년(1656) 大興寺 開刊의 기존 미발견된 『僧家禮儀文』 최초의 간행본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중 1636년 간행된 甘露寺本의 경우, 卷末 契中秩에 寺刹契員 명단이 수록되어, 당시 寺刹契의 존재를 알려주는 귀한 자료임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한편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중 1631년 水岩寺本에 실린 金守溫 발문을 통해 이 책의 초기 간행례를 알 수 있었으며,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중 金守溫 跋文을 통해 成化6년(1470) 이전에 이 책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 필자는 각 전적의 간행 기록 및 내용, 판본 현황을 분석했던 바, 이는 해인사 소장 문헌의 가치와 함께 불교 의식문헌의 다양성 및 그 위상을 파악함에 큰 의미가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Haeinsa Temple is called a Dharma-Ratna monastery among the Tri-Ratna monasteries in Korea. It is because total 92,132 sutra tablets enshrined in it, including 81,370 tablets of Second Goryeo Daejanggyeong printing woodblocks and 4,944 tablets of Saganpan or Jap-pan at Janggyeong Panjeon, 5,766 tablets at Gukpanjeon and Guanyinjeon, and 52 tablets at Baeklyeunnam. The temple also houses a number of old documents.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investigated the documents housed at the temple as a part of the Project for Archives of Buddhist Culture for a year in 2013 and found that there were total 757 items of 247 kinds housed at the temple including 737 old books of 235 kinds, 10 ancient documents of 10 kinds, and 10 Dharanis of two kinds. They also include 46 documents of 30 ritual kind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m to categorize the rituals, figure out the content of each book, and understand the bibliographic importance of each book. As a result, the investigator discovered the first book of Seunggayeuimun published by Daeheungsa Temple in the 13th year of Junji(1656) in the ritual collection at Haeinsa Temple.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book was discovered. In addition, the Gamrosa Temple edition of Cheonjimyeongyangsuryukjaeuichanyo published in 1636 contained a list of temples credit union in the endnotes, proving to be a valuable material to reveal the presence of temples credit union those days. The Kimsuon`s epilogue in the Suamsa Temple edition of Suryukmuchapyeongdeungjaeuichwalyo published in 1631 offers some clues about the early publication courtesy of the book. The Kimuson`s epilogue in Beopgyeseongbeomsuryukseunghoisujaeuigue indicates that the book was present before the sixth year of Chenghua(1470). The investigator also analyzed the publication records and content of each docu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publication editions. The results will hold huge significance in figuring out the values of documents housed in Haeinsa Temple and the diversity and status of Buddhist ritual documents.
目次
I. 緖言 448 II. 해인사 소장 儀式類 典籍 449 III. 해인사 소장 儀式類 典籍의 내용 및 현황 459 IV. 結語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