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붓다의 마지막 공양에 대한 재해석 -이종시식(二種施食)의 평등과보를 중심으로=The Reinterpretation of the Buddha`s Last Meal -The Focus of the Equal Fruit of Two Offerings of Food
作者 박지영 (著)=Park, Chi-young (au.)
出處題名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卷期v.12 n.0
出版日期2012.12
頁次113 - 137
出版者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出版者網址 http://www.easternasia.kr/
出版地Busan, Korea [釜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
關鍵詞붓다의 마지막 공양=The Last Meal of the Buddha; 열반= nirvāna; 마하빠리닙바나 수타; 二種施食의 평등과보=the equal fruit of two offerings of food; 불타관= the views of the Buddha; 대승열반경=Mahāyana Mahāparinirvāna-sūtra; Mahāparinibbāna-sūtta
摘要『마하빠리닙바나 수타(Mahaparinibbana-sutta)』는 붓다가 마지막 공양, 수카라맛다와(sukaramaddava)를 섭취한 후 설사병을 앓고, 입멸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이는 붓다의 최후 음식과 발병·입멸의 연관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그러나 경에서는 정각 직전의 공양과 입멸 직전의 공양이 가장 수승하며 그 과보가 같다는 二種施食의 평등공양을 설함으로써, 붓다의 최후 음식이 입멸을 야기한 발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님을 해명한다. 본고는 붓다의 마지막 공양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二種施食의 평등과보를 본격적으로 밝히는 문헌적 고찰이다. 그리고 본 주제에 대하여 초기·부파·대승불교 텍스트를 망라하여 처음으로 분석하는 데 의의를 둔다. 『마하빠리닙바나 수타』와 아함부에 수록된 『열반경』의 제본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아비달마대비바사론』·『밀린다팡하(Milindapanha)』·『슈망갈라윌라시니(Sumangalaviasinil)』, 『대승열반경』 등의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불타관의 발전과 함께 붓다의 열반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었음을 고증한다. 초기·부파·대승불교시대에 걸쳐 논의된 붓다의 마지막 공양을 둘러싼 二種施食의 평등과보는 붓다의 열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초기불전에서는 춘다가 공양한 음식이 붓다의 발병을 야기하지 않았다는 해명으로써 二種施食의 평등과보를 부각시켰다. 그러나 팔리어 본이 역사적인 붓다의 육성과 사실을 바탕으로 가감 없이 이해하고자 했다면, 한역본들은 붓다의 입멸을 좀 더 이상적으로 묘사하려고 했다. 부파불교 텍스트는 초기불교에서 진보된 불타관으로써 붓다의 마지막 공양에 대해 교학적 체계로 이해하고자 했다. 북방 논사들은 二種施食의 평등과보인 정각과 열반을 사성제로 분석했다면, 남방 논사들은 二種施食의 평등과보의 공통점을 밝히고 붓다의 최후 음식의 완벽함과 효능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대승열반경』은 춘다의 공양을 중요시하며, 법신불의 불타관으로써 二種施食의 평등과보를 설한다. 역사적 붓다의 입멸은 색신으로서 방편시현일 뿐, 佛身은 법신으로서 상주한다는 입장이다. 경은 불타관의 발전으로써, 불신상주·열반의 상락아정의 교리체계를 확립했다.

The Pali Mahaparinibbana-sutta shows Ananda`s concern of the Buddha`s dysentery, with the Buddha interjecting and explaining that there were two offerings of food, one that gave enlightenment and the other that gave full parinirvana and that the result of both kinds food were equal. A close examination of Buddhist literatures shows that the Mahaparinibbana-sutta is also found in several texts in the Dirghagama. Likewise discussion of the same result of two offerings of food is also found in both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Abhidharma traditions, as well as in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This article then mainly focus on the same results of Sujata`s and Chunda`s offerings. It is the finding of this article that these three categories of texts show a development in their views of the Buddha as he lay passing into final nirvana.
目次I. 시작하는 말 114
II. 초기불교의 견해 117
III. 부파불교의 견해 121
IV. 대승불교의 견해 127
V. 맺는 말 132
ISSN27140938 (P); 27140946 (E)
點閱次數21
建檔日期2023.08.14
更新日期2023.08.14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7980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