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디그나가의 니야야학파 지각론 비판=Dignāga’s criticism on the Theory of the Naiyāyika
作者 박대용 (著)=Park, Dae‐yong (au.)
出處題名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卷期v.30 n.0
出版日期2021.10
頁次91 - 113
出版者金剛大學
出版者網址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초빙교수
關鍵詞디그나가= Dignāga; 밧챠야나; 니야야학파; 쁘라마나삼웃짜야(브릿띠)=Pramāṇasamuccaya(vṛtti); 니야야수 뜨라; Vātsyāyana; Naiyāyika; 지각[현량]; 접촉; Nyāyasūtra; pratyakṣa; saṃyoga
摘要이 논문의 목적은 디그나가(Dignāga, ca.480-540)의 Pramāṇasamuccaya(vṛtti) (이하 PS(V)) 1장 「현량장」 17~20게송과 자주에 나타난 니야야학파(Naiyāyika)의 지각 정의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 자료는 2005년 오스트리아 비엔나학술원의 에른스트 슈타인켈너(E. Steinkellner)에 의해 새롭게 복원된 범본 (梵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디그나가는 상대적으로 전반부에 속하는 PS(V) 1.1-12에서 자신 혹은 자파(自派)의 지각 정의(pratyakṣa-lakṣaṇa)--PS 3cd, “pratyakṣaṃ kalpanāpoḍhaṃ nāma jātyādiyojanā ||”(지각은 분별을 배제한 [직접인식이고, 분별이란] 명칭과 종류 등이 결합한 것이다.”)--를 설명하고, 최종적으로 PS 1.12 게송에서 인식수단과 결과, 그리고 작용은 서로 다르지 않다는 비별체설(非別體說; 유식의 ‘동시지각설’)을 내세운다. 이어지는 게송과 자주에서는 『논궤』(13~16게송) ⇨ 니야야학파(17~20게송) ⇨ 바이쉐시까학파(21~24게송) ⇨ 상키야학파(25~33게송) ⇨ 미망사학파(34~44게 송) 순으로 타 학파들의 지각 정의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고 비판을 가한다. 특히 그는 PS(V) 1.17-20에서 니야야학파의 『니야야수뜨라』(Nyāyasūtra, 이하 NS)-- NS 1.1.4, “indriyārthasannikarṣōtpannaṃ jñānam avyapadeśyam avyabhicāri vyavasāyātmakaṃ pratyakṣam ||(지각은 감관과 대상의 [직접] 접촉을 통해 발생한 인식이어서 ⑴ 표현 불가능하고 ⑵ 착오가 없으며 ⑶ 결정을 [그] 본성으로 한다.)”--에 나타난 지각 정의를 소개하고 이 세 가지 한정사들이 갖는 오류(doṣa)들을 통렬히 지적함으로써 그들의 지각 이론이 틀렸음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디그나가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니야야학파의 NS 1.1.4 내용을 중심으로 선행 검토하고, 이어서 범본 PS(V) 1.17-20에 나타난 디그나가의 비판을 집중적으로 살필 것이다.

This essay is a follow up investigation on Ernst Steinkellner’s newly restored Sanskrit text (2005) regarding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perception (pratyakṣa) of the Naiyāyika, which is referenced regularly in the first chapter of Dignāga’s (ca. 480-540) work, Pramāṇasamuccaya(vṛtti) (PS(V)) 1.17-20. In PS(V) 1.1-12, which belongs to the first of Dignāga’s definition of perception (pratyakṣa-lakṣaṇa), is as follows -- PS 3cd, “pratyakṣaṃ kalpanāpoḍhaṃ nāma jātyādiyojanā ||(Perception is a combination of [direct perception, excluding discernment] name and kind, etc.)”-- Dignāga’s conclusion contains the theory of non-separate which asserts that the means, results, and actions of cogni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What follows is Vādavidhi (kk. 13-16) ⇨ Nyāya School (kk. 17-20) ⇨ Vaiśeṣika School (kk. 21-24) ⇨ Sāṃkya School (kk. 25-33) ⇨ Mīmāṃsaka School (kk. 34-44). In PS(V) 1.17-20,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Nyāya School’s Nyāyasūtra (NS) is of particular importance -- NS 1.1.4, “indriyārthasaṃnikarṣōtpannaṃ jñānam avyapadeśyam avyabhicāri vyavasāyātmakaṃ pratyakṣam ||(Awareness is recognition caused by direct contact between a sensory organ and an object. Thus, it is impossible to express, free of error, and naturally determined.)”-- This thesis will demonstrate that the perceptual theory expressed in this passage is incorrect. This will be shown by pointing out the contradiction (doṣa) that exists between these three propositions. Shortly after Dignāga’s death, Uddyotakāra (ca. 550-610) of the Nyāya school raised an objection to Dignāga’s criticism based on Nyāyavārttika. In addition, this rebuttal (uttarapakṣa) for this counterargument has led to careful logical developments by Dharmakīrti (ca. 600-660) and Jinendrabuddhi (ca. 725-785), etc., however that issue will not be dealt with here.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a preliminary review, which focuses on the contents of NS 1.1.4 of the Nyāya School, which was the object of Dignāga’s criticism. Following this is a review of Dignāga’s criticism as it appears in PS(V) 1.17-20.
目次I. 들어가는 말 92
II. 니야야학파의 전통적인 지각 정의와 해석 94
III. 디그나가의 니야야학파 지각론 비판 전개 100
IV. 나오는 말 107
ISSN19752660 (P)
點閱次數70
建檔日期2023.08.26
更新日期2023.08.2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664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