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조선후기 『유마힐소설경직소』의 간행과 그 서지적 특징=Study on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ei Mo Jie Suo Shuo Jing Zhi Shu” in the Late Joseon Dynasty
作者 곽뢰 (著)=Kwak, Roe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71
出版日期2022.06
頁次133 - 156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일반연구원
關鍵詞유마힐소설경직소=Wei Mo Jie Suo Shuo Jing Zhi Shu; 통윤= Tongrun; 조선 각본=Joseon text; 성주암= Seongjuam
摘要이 연구는 1854년 성주암(聖住庵)에서 장판(藏板)된 『유마힐소설경직소(維摩詰所說經直疏)』 조선각본(朝鮮刻本) 의 분석을 통해 그 내용적 특징을 살핀 것이다. 한국 불서 간행의 최전성기는 대장경 판각을 두 차례나 행했던 고려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발전된 인쇄술의 보급은 이후 불서 간행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왕실의 비호 아래 불서 간행이 지속되었으나, 16세기 후반 성리학이 사회 운영원리로 채택됨에 따라 왕실차원의 서적 간행은 급감하게 된다. 그러나 지역 사찰의 불교 서적 간행은 달랐다. 강원 교재, 수륙제에 필요한 서적, 포교 활동 등을 위해서라도 서적 간행은 필수적이었다. 즉, 공덕을 쌓고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 사찰의 서적 간행은 계속되었던 것이다. 당시 사찰은 자체적으로 서적을 간행 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있었다. 목판 제작 기술자, 가용 인력, 시주를 통한 물자 등이 모두 뒷받침되었다. 즉, 불서 간행 및 출판은 물론, 각종 서적 판각의 보관처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역 사찰의 서적 간행에 대한 검토는 당시 출판 인쇄 문화를 이해하는데 큰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역 사찰 서적 간행에 대한 검토를 위해, 1854년 강원도 철원 성주암에서 간행된 『유마힐소설경직소』를 주목하였다. 한국에서 유마경이 유통된 것은 오래전 일이지만, 그 뜻이 매우 어려워 많은 사람들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1853년 유성종은 연경(燕京)에 가서 명의 승려 통윤(通潤)이 편찬한 『유마힐소설경직소』를 구해왔다. 이듬해(1854년) 조선에서 간행되었고 그 경판은 성주암에 보관하였다. 이 조선 각본은 현재 총 14부로 확인되고 있는데, 국내 소장본이 12부이며 프랑스와 대만에 각각 한 부씩 소장되어있다. 물론 내용 배열 순서의 앞뒤가 다르긴 하지만, 내용과 판식은 동일하다. 중국에서조차 통윤의 『유마힐소설경직소』의 각본이 전해지지 않고 있는 만큼, 한국 소장본의 가치는 대단히 크다. 아울러 서지학적으로도 그 판각의 연원과 특징이 검토되는 만큼, 조선 후기 사찰판본에 대한 이해를 한층 넓힐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import process and edition of Tongrun’s “Wei Mo Jie Suo Shuo Jing Zhi Shu.” In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founded based on Buddhism, the Daejanggyeong was engraved twice, for which all national resources were mobilized. The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was in its heyday and played a major role in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printing. Even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royal sponsorship and publication of Buddhist books at temples continued. In the late 16th century, when the Neo-Confucian ideology was settled upon as the principle of social management, the publication of books at the royal level dropped sharply. However, book publishing continued with the aim of distributing books necessary for rituals, such as Gangwon textbooks involving Buddhist scripture publication, missionary activities requiring book publishing orders, and prayers for the repose of the dea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i Mo Jing” was distributed, but those who studied it found certain parts challenging because they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Yuseongjong went to Yanjing and obtained the “Wei Mo Jie Suo Shuo Jing Zhi Shu” compiled by Tongyoon, a Buddhist monk of the Ming Dynasty, and published it in Joseon the year after. The scripture was kept in Seongjuam. In total, 14 copies of this Joseon text have been confirmed, of which 12 are in Korea, one is in France, and one is in Taiwan. These are all Joseon publications, and these editions are particularly valuable because no copies of the Ming Dynasty edition of Tongrun’s “Wei Mo Jie Suo Shuo Jing Zhi Shu” have been found in China.
目次I. 머리말 134
II. 통윤과 H유마힐소설경직소H의 편찬 136
III. 19세기 H유마힐소설경직소H의 유입과 간행 140
IV. H유마힐소설경직소H의 서지적 구성과 특징 145
V. 맺음말 151
ISSN15980642 (P)
點閱次數104
建檔日期2023.08.27
更新日期2023.08.2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71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