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유식논사 대현(⼤賢)의 성(性)과 상(相)의 이해 - 『성유식론학기』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를 중심으로=Silla Yogācāra Master Taehyŏn on Nature (性) and Characteristics (相) - Focused on His commentaries of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作者 이수미 (著)=Lee, Su-mi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101 n.0
出版日期2022.02.28
頁次43 - 69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덕성여자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關鍵詞대현(⼤賢 , 8세기 경)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원효(元曉 , 617-686)=Wŏnhyo (617-686); 법장(法藏 , 643-712)=Fazang (643-712); 공유논쟁=空有論爭=Controversy on Emptiness and Existence; 여래장=tathāgatagarbha; 성유식론=成唯識論=Cheng Wei Shi Lun; 대승기신론=⼤乘起信論=Awakening of Faith
摘要신라 대현(⼤賢, 8세기 경)은 유식논사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유식은 중국의 현장(⽞奘, 602-664)의 새로운 번역[新譯]을 바탕으로 수립된 법상종(法相 宗)과 그 이전 번역[舊譯]에 근거하여 수립된 지론종(地論宗)과 섭론종(攝論宗)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구분 하에 현장 이후 유식 전통에 속하는 대현은 보통 법상종 논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아시아 불교에서는 법상종을 가리키는 소위 ‘상종(相宗)’과 중관 및 여래장 사상으로 대표되는 ‘성종(性宗)’이 상반되는 사상 체계라고여겨져 왔고, 이러한 전통 하에 이 두 입장을 모두 수용하고 있는 대현의 사상적 성향은 논란이 되어 왔다. 일견 모순적으로 보이는 이러한 대현의 사상 성향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이 전통적 논사들뿐 아니라 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왔다. 하지만 성과 상을 상반된 이론 체계로 보는 사상 구도 하에서 대현의 ‘복합적’ 사상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성과 상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상종과 성종의 대표적 논서로 각각 알려진 『성유식론』(成唯識論)과 『대승기신론』 (⼤乘起信論)에 대한 대현의 주석서인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와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乘起信論內義略探記)를 고찰함으로써, 성과 상에 대한 대현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전형적인 이분법 구도를 재조명한다. 또한 『대승기신론내의략탐기』의 분석 과정에서 『대승기신론』의 대표적 주석가인 원효(元曉, 617-686)와 법장(法藏, 643-712)의 『대승기신론』에 대한 입장과 대현의 입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의 동아시아의 불교 전통 내에서 유식논사로서 대현의 사상적위치를 가늠해 본다.

Taehyŏn (ca. eighth century CE), a renowned Buddhist monk of Silla Korea, is known as a Yogācāra master. In East Asia the Yogācāra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Xuanzang (602-664)’s new translations of Buddhist literature, is generally designated as the dharma characteristics (C. Faxiang, K. Pŏpsang) school, in distiction from which the Yogācāra schools formed before Xuanzang. Taehyŏn, who belongs to the Yogācāra tradition after Xuanzang, also considered as a master of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n East Asia, however, ‘Characteristics school (Xiang zong)’, i.e.,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is regarded as doctrinally antagonistic against the so-called ‘Nature school (Xing zong)’, such as Madhayamaka, Tathāgatagrbha, and Hwaŏm (C. Huayan). In this regard, Taehyŏn’s doctrinal position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his thought contains both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The conflict between Taehyŏn’s thought and the traditional bifurc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chool and the Nature school requires a new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na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article explores Taehyŏn’s views on these two concepts, by analyzing his commentaries on the two representative treatises 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that is, the Cheng Wei Shi Lun and the Awakening of Faith, respectively.
目次I. 들어가는 말 45
II. 『성유식론학기』로 본 공유논쟁에 대한 대현의 관점 46
III. 『대승기신론』의 ‘일심(一心)’에 대한 대현의 해석 54
IV. 나가는 말 64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101.2
點閱次數100
建檔日期2023.08.29
更新日期2023.08.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090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