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금강경』 제27 「무단무멸분」 번역의 문제=The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of the 27th Chapter 「無斷無滅分」 in the Diamond Sūtra
作者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105 n.0
出版日期2023.02.28
頁次47 - 7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부교수
關鍵詞금강경; 구마라집= Kumārajīva; 현장= Xuanzang; 여래= Tathāgata; 상=相;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단멸; uccheda; anuttarāsamyaksaṃbodhi;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lakṣaṇa
摘要『금강경』에는 모두 6종의 한역본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구마라집과 현장의 번역 사이에는 용어상‧구문상의 차이가 발견되지만, 그 의미가 크게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27 「무단무멸분」은 너무나 대조적으로 번역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구마라집은 “네가 만약‘여래는 [32]상을 갖춘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다’라고생각한다면,” 이와 같이 생각하지 말라고 번역하고 있다. 반면에 현장의 번역문은 “여래는 모든 상을 갖춘 까닭에 무상정등각을 현증한 것이겠느냐?”라고 묻고 있다. 다른 한역본과의 비교에서 아무도 이 구문을 “아니다(不)”라는부정의 의미로 해석하지 않는다. 산스크리트 교정본과의 비교에서도 현장의번역과 상응하는 것이 확인된다. 그렇다면, 구마라집은 왜 이처럼 다르게 번역했던 것일까. 구마라집의 번역은 『금강경』에서 전개되는 모든 관념의 타파가 상견은 물론 단견의 부정까지 포함한다는 점을 명확히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여래가 지닌 32 상에 대한 관념을 깨뜨리는 일은 경전 전체를 일관되게 관통하는 핵심 주제이다. 하지만, “상을 갖춘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 아니다”라고 해서 그 공덕이나 과보마저 없다고 부정하는 일은 경계해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제27 「무단무멸분」에 대한 구마라집 번역은 단순한 오역이라고 볼수 없다. ‘不’이라는 글자가 잘못 들어간 것도 아니라고 생각된다. 오히려 부정의 관념조차 깨뜨려야 한다는 『금강경』의 설법을 보다 잘 드러내기 위한구마라집의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 are six different versions of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Skt.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that remain today. The translations of Kumārajīva (鳩摩羅什) and Xuanzang (⽞奘) differ in terms of their terminology and syntax, although the meaning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some parts of the two translations of the 27th chapter 「無斷無滅 分」 contrast. making them difficult to comprehend. Kumārajīva translates, “If you think, ‘the Tathāgata has not obtained anuttarāsamyaksaṃbodhi because he possessed the marks,’” you should not think like this. On the other hand, Xuanzang translates, “What do you think, has the Tathāgata obtained anuttarāsamyaksaṃbodhi through his possession of all the marks?” Compared to other Chinese translations, no one interprets this phrase as having a negative meaning of ‘不’. The Sanskrit text also conforms the translation of Xuanzang rather than the one Kumārajīva. If so, why did Kumārajīva translate differently? It seems that the translation of Kumārajīva intended to suggest that the destruction of all ideas including not only the denial of the eternalistic view but also the nihilistic view. Breaking down the concepts of the Tathāgata’s 32 marks is a crucial theme that consistently appears throughout this sūtra. However, we must be careful of denying that there is no such merit or fruition.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Kumārajīva for the 27th chapter should not be simply considered as a mistranslation. It is neither thought that the word ‘不’ was entered inaccurately. Instead, it could be argued that it reveals Kumārajīva’s intention to make teaching more transparent, emphasizing that even the thoughts of denial should be overcome.
目次I. 서론 49

II. 여래의 상(相)이 논의되는 까닭 51
III. 한역과 산스크리트본의 비교 55
IV. 구마라집 번역의 의도 62

V. 결론 68
ISSN12250945 (P)
點閱次數73
建檔日期2023.08.31
更新日期2023.08.31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104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