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ages/title/Title_FulltextSearch.gif) |
|
|
|
|
|
초기불교의 번뇌=Defilements in Early Buddhism |
|
|
|
作者 |
김재성 (著)=Kim, Jae-sung (au.)
|
出處題名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卷期 | n.29 |
出版日期 | 2010 |
頁次 | 227 - 266 |
出版者 | 印度哲學會 |
出版者網址 |
http://krindology.com/
|
出版地 | Korea [韓國] |
資料類型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使用語言 | 韓文=Korean |
附註項 | 저자정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
關鍵詞 | 무명=無明; 갈애; 번뇌; 삼독=三毒; 오염원; 부수번뇌; three roots of unwholesome; craving; three poisons; taNhA; ignorance; avijjA |
摘要 | 고타마 붓다는 괴로움과 괴로움의 소멸만을 가르친다고 했다. 괴로움의 구조의 해명과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방법론으로 제시된 가르침이 사성제이며, 12연기이다. 사성제에서는 괴로움의 원인으로 갈애[愛, taṇhā]가 제시되었고, 12연기에서는 무명, 갈애, 그리고 집착의 세 가지 번뇌가 제시되었다. 본고는 초기경전을 중심으로 무명과 갈애를 포함하고 있는 괴로움의 원인인 번뇌를 고찰한다. 초기경전에서 번뇌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용어로는 āsava, akusala, kilesa, upakkilesa, mala, anusaya, nīvaraṇa, saṃyojana, māra(-senā), bandhana, ogha, micchatta 등이 있다. 번뇌를 의미하는 이러한 용어에는 서로 중복되는 것들이 많다. 이러한 다양한 번뇌의 종류 및 범주, 상호관계가 본론의 관건이다. 초기불교의 번뇌는 탐진치의 3 불선근(不善根) 또는 삼독(三毒)을 근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서 무지(無知) 또는 무명(無明)이 가장 근원적인 것이다. 하지만 무명도 다른 번뇌(욕망의 번뇌, 존재의 번뇌, 무명의 번뇌)와 상호조건 관계에 있다. 그렇지만 탐진치 삼독 가운데 마지막으로 남는 번뇌는 무명이며, 궁극적으로 무명이 완전히 사라질 때, 아라한의 깨달음을 얻는 것임을 10가지 족쇄에 대한 가르침에서 확인된다. 초기불교에서는 이러한 번뇌들을 잘 파악하고, 번뇌를 극복하는 길로 제시된 계정혜 삼학 또는 팔정도를 통해 신구의(身口意)의 세 가지 행위와 관련된 모든 번뇌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It was said that the Gotama Buddha only taught suffering and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 and 12 chains of Dependent-origination are the explanation of the structure of suffering and the methodology to eliminate suffering. Craving(taṇhā) is the cause of suffering in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 and Ignorance(avijjā), craving(taṇhā), and grasping(upādāna) are the defilements which cause suffering in the 12 chains of Dependent-origination.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defilements as the causes of suffering, including ignorance and craving. The representing terms of defilements are āsava(influx), akusala(unskilful, unwholesome), kilesa(defilement, impurity), upakkilesa(minor defilement), mala(dirt, impurity), anusaya(latent disposition), nīvaraṇa(hindrance) saṃyojana(fetter), māra(-senā)(demon, army of demon), bandhana(bondage), ogha(flood), micchatta(wrongness). These many terms which mean defilement are overlapped. I examine the kind, category, and mutual relationship of defilements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e fundamental defilements are three roots of unwholesomeness or three poisons which are greed, hatred, and ignorance. Among these three defilements, ignorance is the most fundamental. However, ignorance is mutual conditioning to other three defilements(three āsava : sensual desire, craving to existence, and ignorance). The final defilement is ignorance which becomes eradicated at the stage of Arhatship. We could find out this fact through the teaching of ten fetters. In the Early Buddhism, these defilements should be well understood. To overcome these defilements, We follow the eightfold noble path which is comprised of the sīla(morality), samādhi(concentration), and paññā(wisdom). Finally, we will be able to eradicate whole defilements which related to bodily, verbal and mental three actions. |
目次 | I 머리말. 227 II 초기불교의 번뇌. 232 III 맺는 말. 260
|
ISSN | 12263230 (P) |
點閱次數 | 89 |
建檔日期 | 2023.09.30 |
更新日期 | 2023.09.30 |
![](images/logo/bg-btn-edit.png)
![](images/banner/donatebanner2017.png)
|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