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미망사학파의 앎과 행위의 주체로서의 자아=The Self as the Subject of Knowing and Action in the Mīmāṃsa Philosophy
作者 성청환 (著)=Sung, Chung-whan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36
出版日期2012
頁次79 - 98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연구초빙교수
關鍵詞자아= Self; 자아의 존재 증명=Proofs of the Existence of Self; 나라는 개념=Notion of ‘I’; 앎의 행위자; 행위= Action; 쿠마릴라= KumArila; Agent
摘要미망사학파에서 ‘자아’는 지성의 본성이며 불변의 실체이며, 앎의 능력인 인식능력을 소유한 ‘아는자’이다. 인식 능력을 소유한 자아의 실체성과 편재성은 해탈의 경지에서도 결코 소멸되지 않고 영원하다. 미망사학파는 ‘나라는 개념’의 재인식에 주목함으로써 자아의 존재를 증명한다. 마치 과거에 존재 했었고 현재에 존재하고 있는 어떤 대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정당화되는 것처럼, 기억 속의 경험의 주체로서 나 스스로에 대한 재인식이다. 쿠마릴라와 샤바라는 경험적 현상 세계에 실존하는 존재를 근거로 초월적 자아의 존재성을 증명하며, 자아의 영원성과 불변성을 지지하면서도 양태 변화의 정당성을 옹호한다. ‘나는 안다’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앎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직접 경험에 의해 증명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쿠마릴라는 언어로 표현되는 모든 것들은 행위이며, 자아는 결지와 존재성을 보유한 행위의 행위자이다. 따라서 앎도 행위의 범주에 포함되게 된다. 미망사학파는 지혜에 의한 해탈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앎을 행위로 분류함으로써 자아는 앎의 주체인 동시에 행위의 주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존재론적 근거로 형이상학의 범주에서 논의된 자아는 인식론과 윤리학 논의의 근거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eory of the Self;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the Self, the poofs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the role of the self i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the Mīmāṃsa philosophy The self in the Mīmāṃsa school just as the orthodox Hindu schools is eternally a spiritual substance and the abode of intelligence. The theory of the self is an eternal essentially conscious entity that continues unchanged throughout its various transformations states of consciousness. Intelligence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self and differentiates from the material substances and physical organism including the mind and the sense organs. Intelligence as a core of the self eternally continues in all changing states while specific cognitions are fluctuating without making any difference to the spiritual character of the self. Mīmāṃsakas, such as Śabarasvāmin and Kumārilabhaṭṭa argue that the existence of the self can be proved from the notion of ‘I’ (ahaṃpratyaya). In other words, they advocate that the recognition of myself is identified with a part of my memories which I remembered experience in the past and now remembering it. It, thus, eventually justifies a subject of experience in memory and directly reveals the existence of self in the past and present. The expression ‘I know something’ in the Mīmāṃsa philosophy basically means the knowledge for subjective agent and simultaneously indicates its own action which can directly proved from empirical experience, that is, knowledge is for the sake of action. In other words, all actions have knowledge as a prerequisite and knowledge qualifies the agent of actions. Mīmāṃsakas unlike some other Hindu schools advocates knowledge itself is neither motivated by the attainment of liberation nor by itself bring about the final end. Knowledge is undertaken with correct action as its objective, and such action brings about the human goal. Thus, the theory of self discoursed in the ream of metaphysics as ontological basis is the foundation for the epistemology and ethics.
目次I 서론. 80
II 자아의 정의. 81
III 자아의 존재 증명. 84
IV 자아와 마음. 89
V 앎과 행위의 관계와 자아. 92
VI 결론 94
ISSN12263230 (P)
點閱次數36
建檔日期2023.10.15
更新日期2023.10.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023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