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우슈니샤의 번역 용례와 도상학적 상징 분석=An Inquiry into the Iconographical Symbol and Translated Terms of Uṣṇīṣa
作者 김미숙 (著)=Gim, Mi-suk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36
出版日期2012
頁次163 - 210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외래 강사
關鍵詞계주; 계중주; 계뉴; 불상; 삼십이상=thirty-two major marks; 우슈니샤; 육계; Buddha Image; Buddhist art; kezabandha; cUDamaNi; uSNISa
摘要계주(髻珠)와 육계(肉髻)에 대한 도상학적 표현과 기존 논의를 고찰한 뒤에, 각각의 주장을 원어와 한역(漢譯) 예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기존 용례의 정합성을 논하였다. 그 원어인 우슈니샤(uṣṇīṣa)의 중층적 의미와 다양한 변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머리 위로 솟은 형태는 우슈니샤를 표현한 것이다. 계주의 표시가 없이 방광(放光)이 그려진 것도 우슈니샤의 방광으로 본다. 둘째, 솟은 모양의 우슈니샤가 대소의 크기로 표현되어 있지만, 동시에 머리 중간 부분에 특이한 구슬 모양의 도상 표시가 있는 경우에 그것을 ‘중간 계주’라고 부른다. 대체로 빛을 방출하는 표현이 함께 나타나는 머리 중간에 있는 것은 우슈니샤라는 특상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계주의 기능, 특히 방광을 의도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우슈니샤의 끝 부분에 있는 정상(頂上) 계주의 경우는 먼저 방광의 기능이 강화된 우슈니샤로 보아야 한다. 다만 불화의 표현상 보주의 형태가 강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상 계주라고 부른다. 그리고 도상에서 방광이 표현된 경우는 계주의 방광이라고 보기 전에, 우슈니샤에서 방광하는 모양을 묘사한 것으로 간주한다. 넷째, 보주를 표현하는 선(線)과 같은 특이한 표시가 없이 머리 중간의 특수 도상에 붉은색 또는 살구색이 칠해진 경우에는 계주라기보다는 우슈니샤를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본론의 고찰에 의하면 uṣṇīṣa를 육계 등으로 의역한 것은 부적합하다. 왜냐하면 육계와 계주라는 개념과 도상에 얽힌 다기(多岐)한 관점들은 고대 인도부터 오랜 세월 동안 축적된 다양한 의장(意匠) 양식, 문화적 전통, 불전 문학의 서사적 상징 등이 혼재되어 지나칠 정도로 많은 의미가 내포된 중층적 복합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uṣṇīṣa는 ‘5종 불번(不翻)’ 중 “함다의(含多義)”에 해당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hould like to explore the problem of th translated terms of uṣṇīṣa. The ancient Indian Buddhists have expressed Buddha’s greatness and eminence by means of various symbols. Indian art is designed following very strict iconometric and iconographic systems. Because the symbolic meaning is very important. Buddha’s thirty-two lakṣaṇas(marks ; lineament of the icons) gave the key to understand Buddha’s greatness and eminence. Thirty-two lakṣaṇas were present all of which were apparently standard attributes of Buddha figures. The uṣṇīṣa lakṣaṇa is the most noticeable symbol of Buddha’s thirty-two major marks. These symbols matured and changed in course of centuries. And especially the figure of uṣṇīṣa mark have changed in various forms for various reasons. At first, in Indian Buddhist art the uṣṇīṣa lakṣaṇa appears as much like a topnot as a cranial protuberance of an enlightened Buddha. But there were much more various patterns of uṣṇīṣa in Korean Buddhist art. And there were various translated terms of uṣṇīṣa. What I have tried to show in this paper is that to make a scrutiny into the original meaning of iconographical uṣṇīṣa and translated Korean terms of uṣṇīṣa regardless of the Indian art tradition.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that uṣṇīṣa is a complex conception. There is a wealth of meaning in this brief word, uṣṇīṣa. The symbolic meanings of uṣṇīṣa are a turban, a ritual donning of turban, a mound of hair on the head, a fleshy protuberance, a crown, a headband, a coping stone, a sources of special power, and so on. That is implicit in relation to the religious practice experience of Indian buddhist and multi-cultual consequence. And Gye-Ju(髻珠) and Yuk-Gye(肉髻) are not suited for the translated Korean terms of uṣṇīṣa. The reason is that uṣṇīṣa is rooted in Indian history, culture and the numerous religions worshipped by the people.
目次머리말. 164
I계주 관련 용례의 의미 분석. 166
II 계주에 대한 도상학적 해설. 174
III 육계와 계주의 상징적 원형과 의미. 184
IV 결론. 201
ISSN12263230 (P)
點閱次數89
建檔日期2023.10.15
更新日期2023.10.15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02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