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A Study on the Doctrinal Background of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作者 석길암 (著)=Seok, Gil-am (au.)
出處題名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卷期n.40
出版日期2014
頁次105 - 134
出版者印度哲學會
出版者網址 http://krindology.com/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 교수.
關鍵詞화엄경=Flower Garland Sutra; 방광(方廣 , 毘佛略 , vaipulya); 불탑신앙=stupa worship; 여래출현=appearance of the Tathāgata; 여래성기= arising of the Tathāgata nature
摘要본 논문은 화엄경 편집의 사상적 의도를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엄경의 편집시기와 그것이 편집되던 불교사회의 내부적 배경에 대한 유추를 시도한 것이다. 편집의 사상적 의도에 대해서는, 별행경과 『육십화엄』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첫째 ‘여래출현’ 혹은 ‘여래성기’라는 관점의 확장, 둘째 법회 서분과 결분에 정형화되어 나타나는 동명동호(同名同號)의 다불(多佛)·다보살(多菩薩)이 화현(化現)하는 구조의 의미와 그 확장, 그리고 경명 중의 ‘방광(方廣)’과 경 전반에 걸친 성문(聲聞)에 대한 입장 등이 그것이다. 검토 결과, 화엄경의 편집은 별행경(別行經)의 유통, 성문·소승의 불전으로부터 ‘비불략(毘佛略, vaipulya)’을 ‘보살장’ ‘대승’ ‘마하연’으로 구분하는 경론들의 한역(漢譯) 시기로부터 유추할 때 대략 4세기 초반에서 4세기 중엽에 이르는 시기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화엄경이 편집된 불교사회는 불탑신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동시에 아비달마 불교가 흥성했던 지역, 그러면서 대승경전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던 곳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in order to infer the date of its editing and the intern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As for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Flower Garland Sutra of 60 fascicles. The difference is prominent, firstly, in the expansion of the no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Tathāgata’ or ‘arising of the Tathāgata nature,’ secondly, in the significance and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the incarnation of multiple Buddhas and Bodhisattvas with the same names and pen names which appear with typified forms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dharma talks, and in the approach to the sutra title of ‘vaipulya’ and sravakas throughout the sutra. As a result of the above investigatio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when it is inferr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dates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distinguishing vaipulya (毘佛略) and the Buddhist texts by sravakas in the Hinayana Buddhism by the terms of ‘pusazang’ (菩薩藏), ‘dasheng’ (大乘), and ‘maheyan’ (摩訶衍), is supposed to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n addition,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haracterized by stupa worship, the thriving of the Abhidharma Buddhism, and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Mahayana sutras.
目次I 문제의 소재 106

II ‘여래출현(如來出現)’ 혹은 ‘성기(性起)’와 그 의미의 확장으로서 대경의 편집 109

III 여래 본원 및 보살 서원의 일체화와 그 확장으로서 대경 편집 115
IV 다불다신설(多佛多身說)의 확장으로서 대경 편집 119

V 경명 ‘방광(方廣)’과 입법계품 에 보이는 대경 편집의 사상적 배경 121

VI 화엄경의 편집시기와 불교 내부적 배경
VII 맺는 말 126
ISSN12263230 (P)
點閱次數50
建檔日期2023.10.17
更新日期2023.10.1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84250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